소아과 주치의는 신생아부터 18세까지 만나게 되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원활한 의사를 주치의로 정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1차적인 진료를 받으려면 먼저 가정주치의나 내과의를 선택하게 된다. 또한 신생아가 태어난 가정은 소아과 전문의를 선택할 때 보다 신중하게 된다. 소아과 주치의는 신생아 때부터 청소년기까지 쭉 만나야 하는 의사이기 때문이다. 새롭게 주치의를 고를 때 체크할 만한 사항과 소아과 전문의를 선택시 주의사항을 간단하게 정리한다.
#미 가정의학과 의사협회에서 제시하는 주의사항
- 말할 때 편한 의사를 주치의로 정한다. 대화하기 힘든 경우라면 의사를 바꾸는 것을 고려한다.
- 내가 한 질문에 정확하게 답을 해주는지 살핀다.
- 의사를 만나기 전에는 미리 질문리스트를 가져가 질문한다. 이메일 주소나 전화번호를 얻어 따로 질문하는 방법도 의사와 상담한다.
- 할애된 진료시간을 바쁘게 진행하거나 너무 서두르는 의사보다는 환자와 시간을 더 할애해주는 의사를 선택한다.
- 병원 오피스 진료시간과 장소, 보험, 연계된 병원은 어느 병원인지 등도 꼼꼼히 살피며 나와 맞는지 체크한다.
#미 임신협회에서 조언하는 소아과 의사 선택하기
- 가족이나 친구 등 주변의 추천이나 지역 정보를 통해 소아과 의사에 대해 정보를 얻는다. 왜 그 의사가 좋은지, 도움이 됐던 경험이나 선택 이유 등을 물어보고 정보를 수집한다.
- 미리 질문 리스트를 준비해서 여러 명의 의사를 만나보고 실제로 어떤지 비교해 본다.
- 질문하거나 말하기 편한 의사를 선택한다. 내가 준비한 질문에 잘 응답해주는 의사를 만나는 것이 현명하다. 의사와의 소통이 매우 중요하다. 소통이 잘 되고 신뢰할 수 있는 의사를 선택하도록 한다.
- 나이, 성별, 경험 등과 의사가 연계된 병원이 어떤 곳인지도 체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