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피격사건 대북성명 ‘책임있는 조치’ 촉구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사건의 책임소재와 진상규명을 놓고 남북 당국이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가운데 북한이 13일 이명박 대통령의 전면적 대화 제의를 공식 거부했다.
정부는 그러나 이번 피살사건의 책임이 전적으로 남측에 있다는 전날 북측의 공식 입장을 반박하는 성명을 낸데 이어 사건 관련 의혹을 정식으로 제기하고 나섰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3일 개인 필명의 논평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11일 시정연설에서 언급한 `전면적 대화’ 제안에 대해 새로운 것이란 하나도 없고 지금까지 아래 것들이 떠들어오던 것을 되풀이한 것으로 논할 일고의 가치도 없는 것이라고 평가절하했다.
노동신문은 또 이 대통령이 연설에서 6.15 및 10.4선언 이행을 북측과 협의가 용의가 있다고 천명한 것과 관련, 6.15공동선언과 10.4선언에 대한 입장을 명백히 밝히지 않고 그것을 과거의 북남합의들과 뒤섞어 어물쩍하여 넘겨버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이동관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피살 사건을 보고받고도 그런 연설을 한 것은 큰 틀에서 남북 대화가 진행돼야 한다는 대승적 결단에 따른 것이라며 북한의 일방적 폄하는 적절치 못한 것이라고 지적하면서도 큰 틀에서 남북대화가 전면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스탠스는 계속 지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날 앞서 박왕자씨 피살사건은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 될 수 없다며 북한의 책임있는 행동을 촉구하는 통일부 대변인 명의 성명을 발표했다.
정부는 성명에서 북측 군은 아무런 무장도 하지 않았고 저항의사도 없는 것이 분명한 여성 관광객에게 총격을 가해 사망에 이르게 했다며 이는 누가 봐도 잘못된 조치로서 도저히 일어날 수 없고, 결코 일어나서는 안되는 일이라고 지적한 뒤 철저한 진상조사를 위한 북한의 협조를 촉구했다.
또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북측 발표와 CCTV를 통해 파악된 피해자의 호텔 출발 시각 등에 근거, 북측 설명대로라면 호텔을 나선때부터 사망시까지 피해자의 총 이동시간이 20분인데, 이동 거리는 3.3km라면서 50대 여성인데다 이동구간이 백사장이라는 점에서 북측 주장에 논리적 모순이 있다면서 정식으로 의혹을 제기했다.
이와 함께 지난 11일 박씨 피살사건이 발생했을 때 합동참모본부가 처음에는 `병사(病死)로 추정된다’고 청와대에 보고한 사실이 이날 확인됨에 따라 정부의 미숙한 대처와 늑장보고 문제가 재차 제기됐다.
합참 이성호 작전부장은 이날 자유선진당 금강산특위 위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11일 오전 11시45분께 청와대에서 합참으로 확인 전화가 왔다며 당시 합참 담당 장교가 강원도 남북출입사무소(CIQ)에 확인한 결과 질병사인 것 같다는 얘기를 듣고 이를 청와대에 알려줬다고 말했다고 한 참석자는 전했다.
또 정부는 이날 안보정책실무조정회의를 소집한데 이어 홍양호 통일부 차관 주재로 정부 합동 대책반 회의를 개최, 통일부 고위 공무원을 단장으로 하는 정부 합동조사단을 꾸리기로 했다.
한편 이날 남측 관광객 350명이 관광 일정을 마치고 돌아오면서 현지의 관광객이 전원 귀환함에 따라 현재는 남측 사업자와 현대아산 직원 등 1천500여명이 금강산에 남아있다고 현대아산은 전했다.
jhcho@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