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네티컷서 웨스트 나일 감염모기 발견
2006-08-04 (금) 12:00:00
커네티컷 지역에서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가 발견 지역 한인들은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커네티컷 주 공공보건국(DPH)은 “바이러스 감염여부는 지난 7월말 채취된 모기 샘플에서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발견지역은 브릿지포트, 그린위치, 뉴 헤이븐, 사우딩톤, 웨스트헤이븐 등 5개 지역. 이와 관련, 보건국은 집 안팎으로 모기를 예방할 것을 당부하고 특히 외출시 모기 구충제를 이용하고 긴팔, 긴 바지 옷을 착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커네티컷 주에서는 지난2005년 총 5명의 주민들이 웨스트나일 바이러스에 감염된 바 있으며 이중 1명은 타주에서 옮겨왔다.<홍재호 기자> A6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예방법
단위 예방법
개인 ▲모기들의 활동이 제일 활발한 황혼이나 새벽에는 외출을 피한다.
▲구충제를 사용하며 반드시 화학물질 ‘DEET’나 레몬 유칼립투스(Eucalyptus) 유화 물질이 들어있는 것을 사용한다. 또 구충제 이용전 라벨에 적혀있는 사용서을 꼭 읽는다.
가족 ▲집 주변에 모기가 서식할 수 있는 고여 있는 물이 없도록 한다.
▲쓰레기통 뚜껑, 캔, 화분, 풀장 커버등 물이 고이는 곳은 항상 비워둔다.
▲수영장은 항상 청소 및 염소처리를 한다.
▲어린이용 휴대풀장은 쓰지 않을 경우 뒤집어 놓는다.
▲강아지 물그릇이나 새가 씻는 곳은 자주 청소한다.
▲집 인근 배수구를 청소,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한다.
▲외부 물탱크나 우물은 뚜껑을 항상 덮어 놓는다.
▲창문 또는 문 방충막을 항시 사용, 모기의 침입을 막는다.
방충막이 고장났거나 찢어졌을 경우 바로 수선한다.
커뮤니티 ▲인근 지역에 죽은 새나 고인 물이 있을 경우 www.dph.state.ct.us또는 211으로 신고를 한다.
뉴욕시 주민은 nyc.gov/health/wnv 또는 311으로 연락하면 된다. 죽은 새는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를 인근지역에 발병시킬 수 있으며 고인 물은 모기의 번식을 조장한다.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와 관련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지역주민들과 나눠 이웃들을 돕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