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19년 국제연맹회의 배포 위해 제작한 4권 739쪽 분량

한일관계사료집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조국 독립의 역사적 당위성과 일본의 식민통치 실상을 알리기 위해 편찬한 '한일관계사료집'이 복원 과정을 거쳐 일반에 공개된다.
23일(한국시간) 국가보훈부에 따르면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은 임시정부가 1919년 국제연맹회의에서 배포하기 위해 만든 '한일관계사료집'을 국외소재 문화유산재단으로부터 기증받았다. 재단은 이 역사서를 지난해 미국 내 한인 소장자로부터 확보했다.
한일관계사료집은 고대부터 국권피탈에 이르는 한일 관계사, 강제 병합의 부당성, 병합 이후 3·1운동 전까지의 일제 탄압과 식민지 현실, 3·1운동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내용 등 총 4부로 구성됐다. 특히 제4부는 3·1운동의 원인과 결과, 일제의 탄압, 지역별 운동 상황을 표로 정리했다.
이번에 기증받은 사료집은 이들 네 권이 모두 포함된 완질(完帙·한 권도 빠짐없이 권수가 완전히 갖추어진 책)로 분량이 총 739쪽에 달한다.
편찬 당시 약 100질이 제작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현재까지 완질 형태로 존재하는 사례가 극히 드물어 역사·사료적 가치가 큰 독립운동 유산으로 평가받는다.
사료집 편찬을 위해 임시정부는 1919년 7월 중국 상하이에서 안창호, 이광수, 김홍서 등 33인이 참여한 '임시사료편찬회'를 조직해 작업에 착수했다.
편찬 작업은 불과 석 달도 되지 않는 기간에 긴박하게 진행돼 같은 해 9월 23일 등사본(등사지에 글이나 그림을 긁어 새긴 뒤 롤러로 잉크를 묻혀 인쇄하는 방식)으로 완성해 배포했다.
임시정부기념관은 사료집의 손상된 재질 보존 처리와 소독 등 전문 복원 과정을 거쳐 학술연구와 전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등을 통해 공개할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