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267명 태운 여객선 항로 이탈 몰랐다…관제센터 책임론

2025-11-20 (목) 09:29:30
크게 작게

▶ 여객선 신고 받고서야 사고 인지…관제센터 “항로이탈 인지 가능 시간 1분에 불과”

267명 태운 여객선 항로 이탈 몰랐다…관제센터 책임론

(목포=연합뉴스) 20일 오전 전남 목포시 삼학부두에서 2만6천t급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가 정박해 있다. 퀸제누비아2호는 전날 신안군 장산면에 있는 족도(무인도)에 좌초됐다가 9시간여만에 입항했다. 이 여객선에 타고 있던 승객 246명·승무원 21명 등 267명 전원 무사 구조됐으나 좌초 충격으로 일부가 경미한 통증을 호소해 병원으로 옮겨졌다. 2025.11.20

267명을 태운 대형 카페리 퀸제누비아2호가 정상 항로를 이탈, 무인도로 돌진해 좌초할 때까지 이상 징후를 제때 파악하지 못한 해상교통관제센터(VTS)의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다.

20일(이하 한국시간) 목포해경에 따르면 퀸제누비아2호는 좌초 지점인 신안군 족도(무인도)에서 1천600m 떨어진 지점에서 방향 전환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해당 지점에서 방향 전환을 하지 않고 항로를 이탈해 계속 항해하면서 족도에 정면충돌하듯 올라타 좌초했다.


해상 교통의 안전을 책임지는 목포VTS는 수백명을 태운 여객선이 항로를 이탈하는 사실을 알아차리지 못했다.

여객선이 좌초된 사실도 알지 못하고 있다가 일등항해사가 신고하고서야 후속 조치를 했을 뿐이다.

해경 수사팀은 당시 퀸제누비아2호 항해 속도(시속 40∼45㎞)를 고려하면 정상 항로를 이탈해 좌초될 때까지 2∼3분 가량이 소요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 사이 관제가 제대로 이뤄졌다면 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당시 사고 해역은 관제사 1명이 담당하며 모두 5척의 선박을 관리하고 있었다.

이 관제사는 같은 협수로를 항해하는 다른 선박이 항로를 벗어나 집중 모니터링하는 중이었다는 게 목포VTS 측의 해명이다.

특히 관제사가 퀸제누비아2호의 항로 이탈을 알 수 있는 시점은 족도에서 1분 가량 떨어진 700∼800m 떨어진 지점이라고 강조했다.


수사팀이 밝힌 3분 거리의 항로이탈 지점은 선원들의 진술을 토대로 한 것이어서 실제와는 차이가 난다는 설명이다.

더욱이 이 정도 거리에서는 교신을 하더라도 사실상 족도와 충돌할 수밖에 없어 관제의 실익이 없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서해해경청은 "많은 여객을 실은 여객선의 관제를 완벽하게 하지 못해 사고를 막지 못한 부분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더욱 세심하고 완벽한 관제가 이뤄질 수 있도록 관제 체계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퀸제누비아2호는 전날 오후 4시 45분께 승객 246명, 승무원 21명 등 267명을 태우고 목포를 향해 출발했다가 같은 날 오후 8시 16분께 신안군 장산도 인근 족도에 좌초했다.

당시 항해를 맡은 일등항해사와 인도네시아 국적 조타수가 휴대전화를 보는 등 딴짓을 하다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해경은 두 사람을 긴급체포하고 60대 선장을 입건해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