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일부러 비싼 물만 마셨는데 암이라니”…생수 라벨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이유

2025-10-15 (수) 01:36:27
크게 작게
유통기한이 지난 생수를 마시면 미세플라스틱 섭취로 인해 암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등 건강에 적신호가 켜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생수 섭취 전 용기에 적힌 유통기한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이유다.

최근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유통기한이 지난 페트(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병 생수를 마시면 대장암, 뇌 손상, 불임 등과 관련된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할 위험이 높아진다고 경고했다.

생수의 유통기한은 보통 18개월에서 2년으로 표시되지만, 이는 물 자체의 유통기한이 아닌 플라스틱 병의 품질 유지 기간이다. 이 기간이 지나면 미세플라스틱(지름 또는 길이 1㎛~5㎜인 플라스틱 입자)이 병 안으로 스며들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 설명이다. 특히 플라스틱 병이 고온, 직사광선, 강한 냄새의 화학물질 근처에 보관되면 분해 속도가 빨라져 물이 오염될 가능성이 커진다. 세계보건기구(WHO)와 협력해 담수 플라스틱 오염을 연구하는 셰리 메이슨 박사는 "플라스틱은 특정 종류의 암 증가, 정자 수 감소, ADHD 및 자폐증과 같은 질병의 증가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 일회용 생수를 마시는 이들이 더 많은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캐나다 콩코디아대학교 연구팀은 최근 국제 학술지 '위험물질 저널(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을 통해 생수병 속 미세 플라스틱이 인간의 건강과 생태계 전반에 심대한 피해를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이 기존 논문 141편을 종합 분석한 결과, 인체는 매년 평균 3만 9000~5만 2000개의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하루 물 섭취량을 모두 생수로 충당하는 사람은 수돗물만 마시는 사람보다 연간 약 9만 개나 더 많은 미세 플라스틱을 삼키는 것으로 파악됐다. 2.5㎛보다도 작은 미세 플라스틱 입자는 사실상 몸속 어느 곳으로도 갈 수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여 미세 플라스틱 노출을 피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서울경제>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