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우크라·유럽과 소통한 트럼프, 후과 경고하며 푸틴에 휴전압박

2025-08-13 (수) 02:08:48
크게 작게

▶ 15일 알래스카 회담 이틀 앞 ‘푸틴에 놀아나지 않겠다’ 메시지 발신

▶ ‘대러 제재 및 2차 관세’ 등 주머니 속의 ‘압박카드’ 사용할지 관건

우크라·유럽과 소통한 트럼프, 후과 경고하며 푸틴에 휴전압박

케네디센터 방문한 트럼프 대통령[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전쟁 향배에 중대 분수령이 될 수 있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회담(15일·알래스카)을 이틀 앞두고 푸틴 대통령 앞으로 '경고장'을 보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 워싱턴DC 케네디센터에서 열린 행사에서 '푸틴 대통령이 회담 이후에도 전쟁을 중단하지 않으면 러시아가 후과에 직면할 것이냐'는 언론의 질문에 "매우 심각한 후과들(very severe consequences)"이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먼저 '후과' 언급을 꺼낸 것이 아니라, 기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지만 발언 톤은 단호했다.


'후과'의 내용이 제재나 관세냐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굳이 말할 필요가 없다"며 모호성을 견지했다.

이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유럽 주요국 정상 등과 화상회의를 한 직후에 나온 반응이었다.

미국 매체 악시오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젤렌스키 대통령 등과의 소통 때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 목표는 휴전을 이루는 것과, 전면적 평화 합의가 가능한지에 대해 더 나은 이해를 얻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에 맞선 진영의 의견을 청취한 뒤 휴전 목표를 위해 러시아에 '압박 카드'를 쓸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8일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 개최를 발표한 이후 러시아 쪽에서는 전쟁 종결 문제보다 미·러 관계 개선과 북극 공동개발 등에 의미를 부여하는 언급이 많이 나왔다.

또 젤렌스키 대통령까지 참여하는 3자 정상회담이 이번에 성사되기 어려워 보이자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입장을 얼마나 제대로 반영할지 의문시된다는 시각이 제기됐다.

그리고 미국과의 정상회담이라는 중대 외교 이벤트를 통해 외교적 고립을 완화하는 한편, 휴전 압박을 피해 가며 대우크라이나 공세를 계속하기 위한 러시아의 '작전'에 트럼프 대통령이 말려들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았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우크라이나, 유럽과의 소통을 계기로 자신이 푸틴 대통령 앞에서 호락호락하지 않을 것임을 예고한 것으로 풀이된다.

관건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이 손에 쥔 대러시아 압박 카드를 실질적으로 사용하려 할지 여부로 보인다.

이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일,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이유로 인도에 대해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27일께 시행)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함으로써 이른바 '2차 관세' 카드를 꺼냈다.

러시아와 거래하는 나라에 관세 인상이라는 제재를 가하는 동시에 러시아의 돈줄을 압박하는 측면이 있었다.

여기에 더해 러시아의 은행에 대한 제재, 러시아산 에너지의 또 다른 주 고객인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등 추가적인 압박 카드가 트럼프 대통령의 주머니 속에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집권 2기 출범 후 처음 만나는 푸틴 대통령에게 이런 카드를 거론해가며 실질적인 경고나 압박을 할지 여부가 휴전 실현에 변수가 될 수 있는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말과 소셜미디어(SNS) 메시지로 푸틴 대통령을 몇차례 강하게 압박한 바 있지만 집권 2기 들어 러시아의 전쟁 수행에 결정적 타격을 주는 제재는 아직 도입하지 않았다. 인도에 대한 2차 관세가 눈에 띄지만, 그것도 3주의 유예 기간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실질적인 압박을 통해 푸틴 대통령으로부터 휴전과 종전 조건에 대한 의미 있는 입장을 받아낸다면 젤렌스키 대통령까지 포함한 3국 정상회담 개최를 통해 전쟁을 끝내는 '출구' 논의가 시작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2017∼2021년) 때 6차례 만났던 푸틴 대통령과 오랜만에 대좌한 자리에서 서로 낯 붉힐 이야기를 피할 경우 휴전 전망은 다시 오리무중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관측통들은 보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재무부는 이번 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실무적으로 필요한 양국 간 교역 등에 대해서는 기존 대러시아 제재를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