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삶과 생각] “애국가의 유래(由來)”

2025-08-08 (금) 07:35:21 임형빈/한미충효회회장
크게 작게
1988년 서울 올림픽 개막식에서 비둘기가 날고 성화가 타오른 다음 애국가가 장엄하게 울려 퍼졌을 때 이를 보고 있던 서양 할머니 한 분이 손수건으로 눈언저리를 닦고 있었다. 왜 한국 애국가를 듣고 서양 할머니가? 라는 의문이 들었다.
이유 없이 울 리는 없는 법.

할머니 나이는 당시 70세, 국적은 스페인 탈라벨라안. 1936년 8월 1일 나치 치하의 베를린 올림픽 개막식이 끝나고 일장기를 단 한국 선수 김용식, 이규환, 장이진, 손기정, 남승룡 등이 모여 앉아 잡담을 하고 있었다. 그 자리에 재독 동포 한사람이 헐레벌떡 달려왔다.

억센 평안도 사투리로 자신이 지었다는 조선 응원가를 불러 주겠다면서 구깃구깃한 악보하나를 꺼내들고 손짓발짓 고갯짓으로 장단을 맞추어가며 그 응원의 노래를 불렀다. 그 조선 응원가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동해 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토록 하나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이런 일이 있은 지 보름 후에 마라톤의 손기정 선수가 제1착으로 경기장 안으로 뛰어들자 스탠드 한쪽에서 돌연히 노래가 흘러나왔다. 서너 명의 재독동포 앞에서 미치광이처럼 두 손을 저으며 지휘하고 있는 이는 바로 보름 전에 조선응원가를 불러주던 그 젊은이였다.

그 젊은이가 바로 안익태였다. 그는 베를린 올림픽 두 달 전에 지금 우리가 부르는 애국가 작곡을 완성하였고 올림픽에 조선의 선수들이 참가한다는 소식을 듣고서 응원가로 임시변통을 한 것이었다.

이 애국가를 짖게 된 동기는 이렇다. 그가 미국 커티스 음악학교에서 작곡을 공부하고 있을 때 샌프란시스코의 한국인 교회를 들른 적이 있었다.

그 교회에서 제작하여 부른 애국가 곡조가 이별할 때 부르는 슬프디 슬픈 스코틀랜드 민요였었다. 그래서 슬픔을 이겨내고 희망찬 애국가 곡조가 절실하다고 생각한 그는 전 세계 40여 개의 국가의 애국가를 수집하고 비교 검토해 가며 5년 만에 지어낸 곡이 베를린 올림픽 개막식에서 처음 불렀던 애국가였다.

1948년 정부 수립과 더불어 정식 국가로 채택되었을 때 안익태는 이승만 대통령에게 이런 편지를 띄었다고 한다. “이 애국가는 제가 지은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지어주신 것입니다. 저는 다만 하나님의 영감을 대행한 것뿐입니다.”

52년 전 나라조차 없이 일본 국명으로 출전한 올림픽 개막식에서 처음 불렀고 그 노래를 이미 별세하고 없는 고 안익태 선생의 미망인 롤리타 안 여사가 1988년 서울 올림픽 개막식에서 울려 퍼지는 애국가를 어찌 눈물 없이 들을 수 있었겠는가. 개막식의 애국가는 우리 민족 모두가 울먹여야했던 일제 강점기 그때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애국가 아니던가!

세계만방을 이 땅에 불러놓고 가슴 벅차게 마음껏 소리쳐 부르는 우리나라의 노래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국가가 아니던가?

<임형빈/한미충효회회장>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