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당국 압박 이후 엔비디아 반박…미중 관세전쟁 휴전 여부 최종결과도 ‘아직’

엔비디아 로고[로이터]
중국 관영매체가 대(對)중국 수출용 칩인 H20의 보안 우려와 관련해 엔비디아가 신뢰를 회복하려면 증명 자료를 제출해야한다고 1일 밝히면서 당국의 압박 의지를 재확인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의 논평 부문은 이날 오후 공식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엔비디아, 어떻게 당신을 믿으란 말인가?'라는 다소 자극적인 제목의 글을 게시했다.
논평은 "엔비디아는 H20 칩의 보안 리스크에 대한 설득력 있는 보안 증명을 제시해야만 중국 사용자들의 우려를 해소하고 시장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며 "젠슨 황 CEO는 말한 것을 행동으로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이버 보안을 지키는 것은 국가 영토를 수호하는 것만큼 중요하다"라면서 "외국 기업이 중국 시장에 깊이 뿌리 내리려면 중국 법을 존중하고 보안의 레드라인을 지키는 것이 기본"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논평은 보안이 뚫렸을 때의 위험성에 관해 설명하면서 전기차와 같은 신에너지 차량이 고속도로 한복판에서 갑자기 멈춰 서거나 환자가 원격 수술을 받다가 장비가 먹통이 된다든지 하는 등의 예시를 들었다.
그러면서 "칩의 백도어(정상적인 보안·인증 기능을 우회해 정보통신망에 접근할 수 있는 허점) 위험이 발생하는 순간 우리는 언제든지 이러한 악몽을 만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인민일보의 논평은 전날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이 엔비디아 측을 소환해 백도어 안전 리스크 문제에 관해 설명하고 증명 자료를 제출하라고 요구했다고 밝히자마자 나온 것이다.
중국중앙TV(CCTV)는 이번 사안을 두고 중국 당국이 기업·기관·개인을 불러 잘못을 지적하고 시정하도록 하거나 요구 사항을 전달하는 일종의 구두경고 행위인 '웨탄'(約談)했다고 표현했다.
또 CCTV는 "미국 의원은 미국이 수출하는 첨단 칩에 반드시 '위치 추적' 기능을 탑재해야 한다고 요구했고, 미국 AI 분야 전문가는 엔비디아 칩의 위치 추적 및 원격 차단 기술이 이미 성숙 단계라고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
이에 엔비디아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사이버 보안은 엔비디아에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며 "우리 칩에는 외부에서 원격으로 접근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백도어'가 없다"고 즉각 반박했다.
중국 당국의 이번 대응으로 엔비디아의 중국에 대한 공급 전망에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로이터통신은 짚었다.
미국 정부의 통제로 한동안 대중국 수출길이 막혔던 H20의 공급 재개가 결정된 지 약 보름 만에 중국 당국이 돌연 엔비디아를 압박하고 나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특히 미국과 중국이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3차 고위급 무역회담을 종료한 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전쟁 휴전 연장에 대한 최종 확정 발표를 하지 않고 있어 각종 의구심이 더해진다.
미국 정부가 양국의 '관세전쟁' 휴전 연장에 대해 헷갈리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홍콩 일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이날 지적했다.
회담이 끝난 뒤 중국 협상 대표단 일원인 리청강 상무부 국제무역담판대표 겸 부부장(차관)은 상호관세 유예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발표했지만, 미국측 수석대표인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일부 풀어야 할 기술적인 문제가 있다면서 이번 합의는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나 백악관 대변인실은 이에 대해 여전히 최종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