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매출·주당순이익 예상치 상회…AI에 100억 달러 투자 확대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지난 2분기(4∼6월) 964억3천만 달러(132조6천394억원)의 매출과 주당 2.31달러(3천177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시장조사 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 평균 예상치 매출 940억 달러와 주당 순이익은 예상치 2.18달러를 웃도는 수준이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해 월가 예상치였던 10.9%를 상회했다. 순이익은 약 20% 증가한 282억 달러를 기록했다.
AI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구글 검색 및 광고는 여전히 성장세를 보였다.
2분기 검색 부문 매출은 541억9천만 달러, 전체 광고 수익은 713억4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0% 증가했다.
구글 클라우드 매출은 31% 증가한 136억2천만 달러로 예상치(131억1천만 달러)를 넘었다. 유튜브 광고도 97억9천만 달러로 예상치(95억6천만 달러)를 웃돌았다.
자율주행차 부문인 웨이모와 생명과학 부문인 베릴리가 포함된 기타 사업 매출은 1년 전(3억6천500만 달러)보다 늘어난 3억7천3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그러나 손실은 12억5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11억3천만 달러)보다 확대됐다.
알파벳 최고경영자(CEO) 순다르 피차이는 검색 결과를 요약해 보여주는 AI 검색 기능인 'AI 오버뷰'가 "현재 200개 이상의 국가와 지역에서 월간 사용자 수가 20억 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앞선 분기 15억명에서 증가한 것이다.
또 AI 챗봇이 탑재된 제미나이 앱 월간 활성 사용자 수도 4억5천만명을 넘었다고 덧붙였다.
구글은 특히, 올해 인공지능(AI) 분야에 당초 계획보다 100억 달러를 더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2월 구글은 AI 전략을 계속 확장하는 과정에서 AI 인프라 등에 들어가는 올해 자본 지출을 750억 달러로 예상했는데, 이를 850억 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구글은 투자 확대 이유로 "자사 클라우드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 대한 강력하고 증가하는 수요"를 들었다.
이날 뉴욕 증시 정규장에서 0.31% 내린 구글 주가는 실적 발표 후 시간외 거래에서 1% 이상 하락하다가 반등해 1% 안팎으로 상승 중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