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월 고용 14만7천명↑, 전망치 큰 폭 상회…실업률 4.2%→4.1%로 떨어져
▶ 관세發 실업증가 우려 불구 노동시장 견고…채권금리 상승·달러가치 강세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실업 증가를 가져올 것이란 우려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미국의 일자리가 양호한 증가세를 보이고 실업률은 오히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 노동부는 6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14만7천명 증가했다고 3일 밝혔다.
최근 12개월 간 월평균 증가폭(14만6천명)을 유지한 데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1만명)를 크게 상회했다.
지난 4월 고용 증가폭은 14만7천명에서 15만8천명으로 1만1천명 상향됐고, 5월 증가 폭은 13만9천명에서 14만4천명으로 5천명 상향됐다. 4∼5월 상향 조정폭은 1만6천명에 달했다.
주(州)정부 고용이 4만7천명 증가했는데, 주로 교육(4만명) 부문이 고용 증가를 주도했다. 의료 부문은 3만9천명 증가했다.
연방정부 고용은 정부효율부(DOGE)가 주도한 공공영역의 인력 구조조정을 반영해 6월중 7천명 감소했다. 지난 1월 이후 연방정부 감소 폭은 6만9천명으로 집계됐다.
다만, 유급 휴가 중이거나 퇴직수당을 지속해서 받고 있는 직원들은 취업자로 집계된다고 노동부는 설명했다.
시간당 평균임금은 전월 대비 0.2% 올랐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3.7% 올라 시장 전망(전월대비 0.3%·전년대비 3.9%)에 다소 못 미쳤다.
한편 6월 실업률은 4.1%로 전월(4.2%) 대비 하락했고, 전문가 예상(4.3%)에도 못 미쳤다.
4월 경제활동참가율은 62.3%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시행으로 노동시장이 급격히 약화할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가운데 시장 참가자들은 이날 6월 고용지표에 촉각을 곤두세워왔다.
특히 전날 발표된 미 고용정보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의 6월 미국의 민간기업 고용은 전월 대비 3만3천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6월 민간고용 위축 우려를 키웠다.
그러나 예상을 웃돈 고용 증가와 실업률 하락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노동시장이 6월 들어서도 여전히 탄탄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날 고용지표 발표 직후 채권 금리는 상승하고 달러화 가치는 강세를 보였다.
이날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서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오전 8시 48분 기준 4.34%로 전장 대비 5bp(1bp=0.01%포인트) 올랐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같은 시간 3.89%로 전장 대비 9bp 급등했다.
ICE선물거래소에서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한 달러 인덱스는 오전 7시 42분 기준 97.26으로 전장 대비 0.5% 상승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조기 금리인하에 나설 것이란 시장 기대도 식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7월 29∼30일 통화정책회의에서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확률을 전날 76%에서 이날 고용지표 발표 이후 95%로 높여 반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