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교황 선출] 즉위명 레오 14세… ‘사자’ 리더십·강인함·용기 상징

2025-05-08 (목) 12:28:58
크게 작게

▶ 사회정의·노동자 권리 헌신한 레오 13세 추앙 의미도

[교황 선출] 즉위명 레오 14세… ‘사자’ 리더십·강인함·용기 상징

새 교황으로 선출된 레오 14세[로이터]

8일(현지시간) 제267대 교황으로 선출된 미국의 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69) 추기경은 '레오 14세'를 즉위명으로 택했다.

가톨릭교회에서 '레오'는 라틴어로 '사자'를 의미한다. 그 이름이 주는 이미지처럼 강인함과 용기, 리더십을 상징한다.

교황의 이름을 새로 짓는 관습이 처음부터 있었던 것은 아니다.


고대 기독교의 초창기 교황들은 자신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던 본명이나 세례명을 그대로 사용했지만, 10세기 때인 요한 12세(재위 955~964)부터는 교황에 오르면 새로 이름을 짓는 것이 관행으로 자리 잡았다.

교황이 즉위명을 선택할 때는 그의 영적 영감이나 신학적 우선순위, 또는 그가 존경하거나 본받고 싶은 과거 교황이나 성인들과의 연결고리를 찾기도 한다.

프레보스트 추기경의 즉위명에서 알 수 있듯 그의 이전엔 이미 13명의 교황이 '레오'라는 즉위명을 사용했다.

레오 1세(45대·440∼461년)는 교회 역사상 가장 중요한 교황 중 한명으로 '대교황' 호칭을 받은 첫 번째 교황이다. 레오 1세는 이단과 싸우고 그리스도 교리를 정립하는 데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레오 9세(152대·1049∼1054)는 중세 교회 개혁의 중심인물로 성직 매매를 강하게 반대했다.

레오 13세(256대·1878∼1903)는 가톨릭 사회교리의 아버지로 불린다. 레오 13세는 1891년 최초의 사회 회칙 '새로운 사태'를 통해 산업혁명 시대 노동자의 비참한 현실, 빈곤과 갈등의 원인과 해결책, 국민을 위한 국가의 의무 등을 제시했다. 이 때문에 가톨릭의 사회 참여와 현대화를 이끈 인물이란 평가를 받는다.

이 때문에 앞서 가톨릭계에서는 새 교황이 개혁파일 경우 사회정의와 노동자 권리에 헌신한 레오 13세를 기려 레오를 즉위명으로 선택할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기도 했다.


레오 14세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임명한 추기경 중 한 명으로, 교황청 주교부 장관을 지내는 등 프란치스코 교황을 가까이서 보좌하며 그의 개혁정책 추진을 도운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레오 14세가 로마에서는 눈에 잘 띄지 않았지만 프란치스코 교황이 단행한 중요한 개혁 중 하나인 여성 참여 확대에 일조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