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트럼프 관세 리스크…WTO, 세계 무역성장률 -0.2%로 대폭 낮춰

2025-04-16 (수) 10:26:01
크게 작게

▶ WTO “추가 관세 시 코로나19 이후 최대 무역 위축 우려”

세계무역기구(WTO)가 트럼프발 관세 충격을 반영해 올해 글로벌 상품 무역 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하향 조정했다.

WTO는 미국의 추가 관세 조치와 그에 따른 파급 효과가 심화할 경우 세계 상품 무역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WTO는 16일(현지시간) 발표한 보도자료를 통해 올해 세계 상품 무역 성장률이 0.2%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제시한 전망치인 3.0% 증가와 비교할 때 크게 후퇴한 수치다. WTO는 이번 주 초까지 시행된 관세 조치를 반영한 것이라고 WTO는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철강, 자동차 등에 25%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고 무역 상대국들을 상대로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이후 국가별 상호관세는 90일간 유예하기로 했지만 중국과는 보복성 관세 공방이 이어지며 양국 간 일부 품목의 관세율이 100%를 넘는 상황까지 치달았다.

WTO는 "트럼프 대통령이 현재 일시 중단한 상호관세를 전면 재도입할 경우 세계 상품 무역 성장률은 0.6%포인트 추가 하락하고 그에 따른 파급 효과로 추가로 0.8%포인트 감소할 수 있다"며 "이러한 영향을 합치면 총 1.5% 하락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는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았던 2020년 이후 최대 폭의 교역 감소라고 WTO는 경고했다.

WTO는 "최근 무역 정책 변화는 전례 없는 수준이기 때문에 이번 전망치는 평소보다 더 신중하게 해석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내년에는 2.5%의 완만한 회복을 예상했다.

응고지 오콘조-이웰라 WTO 사무총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WTO 본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세계 1, 2위 경제대국인 미국과 중국의 디커플링(decoupling·공급망 등 분리)이 가장 큰 우려라고 밝혔다.

그는 "미·중 간 디커플링은 세계 경제의 지정학적 분열을 초래해 양극화된 두 블록으로 세계가 쪼개지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런 시나리오에서는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장기적으로 7% 축소될 수 있고 이는 상당히 중대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