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스마트폰·반도체’ 관세 ‘오락가락’

2025-04-14 (월) 12:00:00
크게 작게

▶ “상호관세서 제외” 이틀 뒤

▶ 상무 “품목관세로” 딴소리

하워드 러트닉 연방 상무부 장관이 13일 스마트폰과 컴퓨터, 반도체 부품 등은 상호관세 대상에서는 제외됐지만 별도의 품목관세 대상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지난 11일 이들 품목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한 지 불과 이틀 만에 나온 발언이어서 첨단 산업의 관세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는 분석이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ABC 방송에 출연해 “이달 11일 (스마트폰과 반도체 부품 등) 다양한 전자 기기를 면제하기로 한 결정은 일시적인 유예 조치일 뿐이며, 이르면 1~2개월 안에 부과될 반도체 품목관세 대상에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연방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지난 11일 ▲컴퓨터 및 데이터 처리 장비 ▲컴퓨터 부품(GPU 등) ▲반도체 제조 장비 ▲스마트폰 ▲반도체 소자 및 집적회로 등 총 20개 품목을 상호관세 부과 제외 목록에 올렸다. 공개된 면제 품목은 반도체·서버 장비 등 AI 인프라 부품이 핵심이며, 완제품 중에서는 스마트폰이 적시됐다.


이에 중국에서 아이폰의 80∼90%가량을 생산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애플은 145%의 관세 폭탄을 피하고, 반도체 제조 장비도 관세를 피한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그러나 러트닉 장관의 발언으로 첨단 산업이 관세 타깃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