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주도 반미연대 불씨 끄면서 중국 때리기 집중
▶ G2 무역전쟁 본격화…중국 ‘끝까지 싸운다’ 재확인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선별적 상호관세 유예가 중국과의 결전을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블룸버그 통신은 10일 해설기사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주요 교역국에 90일 상호관세 부과 유예를 발표한 것은 중국을 고립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관세가 유예된 국가들과 새로운 관계를 두고 협상에 들어가 모종의 협력 체계를 조성한 뒤 중국만 집중 표적으로 삼는 무역전쟁을 본격화한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가 시작된 지 13시간여 만에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까지 올리면서 중국을 뺀 다른 국가에는 국가별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블룸버그는 "미국이 중국 하나만 표적으로 삼음으로써 중국과의 경쟁에서 다른 국가들의 협력을 구하면서 중국에 최대의 압력을 행사하겠다는 신호를 보냈다"고 해설했다.
이 매체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어떤 대결에서도 끝까지 싸우겠다고 선언하며 미국에 맞설 교역 파트너를 결집하려고 노력하는 까닭에 트럼프 대통령과 결국 충돌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중국은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관세에 직면한 미국의 동맹국, 우방들을 끌어들여 미국에 저항할 연대체를 결성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은 지난 8~9일 유럽연합(EU), 말레이시아의 무역 담당 고위 당국자들과 만나 미국 관세에 대한 공동 대응을 논의했다.
시진핑 주석이 다음날 주최한 '중앙주변공작회의'에서는 주변국들과 운명 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해 전략적 상호 신뢰를 강화한다는 외교 방침이 천명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상호관세를 전격적으로 유예한 데에 중국의 이 같은 세몰이를 저해하려는 목적이 있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관측된다.
중국 한곳만을 겨냥한 미국의 거센 압박은 이날부터 가시화했다.
이날 중국을 배제한 상호관세 유예가 단행되면서 중국 위안화 가치는 2007년 이후 가장 약세를 보였다.
중국 정부는 이날 미국에 '대화의 문은 열려있지만 상호존중이 전제 조건이라고 밝혔다.
이는 중국을 미국과 같은 대국으로 인정해달라는 의미로 대중국 강경파로 빼곡한 트럼프 행정부가 받아들일 가능성이 희박할 것으로 관측된다.
전문가들은 시진핑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결을 회피하지 않을 것으로 내다본다.
미국의 고율관세 위협이 정점에 달한 것으로 보이고 그 때문에 중국 입장에서도 협상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얘기다.
리서치 전문 기업 캐피털이코노믹스의 줄리언 에번스-프리처드 중국 경제 책임자는 "중국이 미국 관세의 악영향을 헤쳐 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그들은 관세로 인한 경제적·정치적 악영향이 커질수록 트럼프의 입지가 약해질 것이라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미국과 중국의 갈등은 패권다툼으로 불릴 정도로 이미 광범위하게 되풀이돼왔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미국과 중국은 통상을 넘어 군사적으로도 이미 높은 수위의 긴장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은 취임 이후 이뤄진 지난달 첫 아시아 공식 방문에서 미국이 이 지역에서 군사력을 강화하고 동맹국들의 유사한 노력을 지원함으로써 중국에 대한 억지력을 재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