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지역구에선 관세 아우성인데…트럼프 눈치보는 공화당 의원들

2025-08-24 (일) 09:23:13
크게 작게

▶ 유권자의 反관세 여론에 공감하면서도 정작 표결에선 침묵

미국 집권당인 공화당 정치인들이 지역구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사이에서 곤란한 처지에 몰렸다.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관세 정책에 대한 유권자의 반발이 거세지만, 백악관의 눈치 때문에 의회에서 적극적인 행동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 상호 관세 도입으로 충격을 받게 된 미국의 기업들이 의회를 상대로 설득 작업에 나섰지만, 공화당 의원들은 대부분 문제를 공감하면서도 침묵을 선택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4월 말 워싱턴DC를 방문한 유타주(州) 기업인 대표단이 겪은 사례가 대표적이다.

공화당의 텃밭인 유타주는 농업과 임업, 광업 등 무역 민감 산업 관련 종사자들이 많아 관세의 충격이 큰 지역이다.

유타주 대표단은 연방상원에서 무역을 담당하는 상무·과학·교통위원회 소속인 존 커티스(유타) 의원을 만나 도움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커티스 의원 측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선포의 근거가 된 긴급 권한을 종료시키는 초당적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질 계획이라고 약속했다는 것이 소식통의 전언이다.

그러나 커티스 의원은 4월 30일 결의안 표결 당시 반대표를 던졌다.

결국 초당적 결의안은 49대49 동수로 부결됐다.

약속과 달리 커티스 의원이 반대표를 던진 것은 공화당 지도부의 표 단속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에서 관세 문제를 다루는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표결을 앞두고 커티스 의원을 만난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의원들도 마찬가지다.

블레이크 무어(공화·유타) 하원의원은 관세 문제와 관련한 의회의 권한을 늘리고 대통령을 견제하는 반(反)관세 법안 발의를 고려하겠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무어 의원은 이후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협상에서 진전을 이뤄 기쁘다"고 말을 바꿨다.

그는 관세 법안 발의 대신 행정부와 협력해 지역구 주민들의 피해를 줄이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른 주의 공화당 정치인들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리사 매클레인(공화·미시간) 하원의원은 최근 동료 의원들과 지역구를 순회하는 과정에서 관세가 기업에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업계의 하소연을 들었다.

매클레인 의원은 업계의 불만을 행정부에 전달했지만, 업계의 불만은 해소되지 않았다.

8월 휴회 기간이 끝나면 공화당 의원들은 다시 한번 선택을 강요받을 것으로 보인다.

야당인 민주당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를 반대하는 법안을 재차 추진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론 와이든(민주·오리건) 상원의원은 "가을에 다시 표결을 추진할 것"이라며 "공화당 동료들은 비공개 자리에서 발언뿐이 아닌 행동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