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 화로 속에서 ‘영원한 불꽃(The Eternal Flame)’이 푸르면서도 붉은 불길을 일으키며 타오른다. 그 불길은 꿈과 희망을 후세에 전할 사명을 갖고 있다. 하얀 돌멩이로 가득 찬 화단 한가운데에는 검은 벽돌들이 모여 “KING”이라는 글자를 이루고 있다.
계단식 연못을 따라가면 벽에 마틴 루터 킹의 일대기가 전시되어 있다. 연못은 그의 신념처럼 잔잔하고 맑으며, 중앙에 마치 섬처럼 떠 있는 킹 목사와 아내 코레타 스콧 킹의 묘소는 신비롭게 느껴진다. 킹 목사의 묘비에는 “드디어 자유, 전능하신 하나님, 제가 마침내 자유로워졌나이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고, 부인의 묘비에는 “믿음, 소망, 사랑 중 제일은 사랑이라”는 성경 구절이 새겨져 있다. 연못의 잔잔한 물결 속에는 인종과 피부색을 넘어 모든 사람이 자유와 평등을 누리는 미국을 꿈꿨던 그의 바람이 스며 있다.
킹 목사는 미국 흑인 인권 운동을 이끈 지도자로서 1964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1968년 4월 4일, 멤피스에서 백인 우월주의자의 총탄에 생을 마감하였다. 그는 모든 인간의 공통 분모인 죽음이 닥쳐오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했다. 죽은 뒤 돈이나 재물도 남기지 않을 것이라고 했는데 웅장하고 화려한 묘지 안에 있는 킹목사는 불편하지 않을까.
스위트 어번가 역사 지구를 걸으면 에벤에셀 침례교회 내부에서는 킹 목사의 설교가 울려 퍼지고, 정원에는 기도하는 손 모양의 하얀 탑이 우뚝 서 있다. 벽화에는 연설하는 킹 목사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박물관 앞에는 비폭력 운동을 이끈 마하트마 간디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킹 목사는 간디의 정직성과 헌신, 그리고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시민 불복종』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소로는 부당한 전쟁과 노예제도를 지지하는 정부에 세금을 내는 것에 반대하여 체포된 바 있으며, 감옥에 가더라도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한 비폭력 저항주의자였다.
킹 목사는 “도덕적 인간은 불평등에 순응하지 말고 맞서 싸워야 한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을 이끌었다. 1955년, 로사 파크스가 버스에서 백인에게 자리를 양보하지 않아 체포되었고, 이 사건을 계기로 흑인들이 단결하여 버스를 이용하지 않는 운동을 전개해 성공을 거두었다.
박물관 내부에는 장례식 때 사용된 마차의 나무는 수많은 사람들의 손길에 닳아 금방이라도 쓰러질 듯 보였다. 창으로 들어오는 빛을 향해 걸어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실제 크기의 인형들로 재현한 공간은 인상적이다. 어른, 아이, 흑인, 백인, 장애인, 비장애인 할 것 없이 모두 한 방향으로 나아가는데, 그 씩씩한 발걸음을 보며 나도 그 줄 끝에 서서 동질감을 느껴 보았다.
킹 목사는 정의와 평화를 알리는 군악대장으로 기억되길 원했다. 만약 그가 지금의 미국을 본다면 무엇이라고 말할까? 자유를 향한 그의 외침과 꿈은 박물관 안에서 메아리친다. 언젠가 우리는 그 약속의 땅에 도착할 것이다. 그러나 아직은 더 큰 용기가 필요하다. 박물관 벽에 붙은 사인처럼, 지금은 ‘Courage to Lead’즉, 용기 있는 군악대장이 필요한 시대이다. 우리에게는.
<
이현숙 수필문학가협회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