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미얀마 강진 사망자 2천719명으로 늘어…군정 “3천명 넘을 것”

2025-04-01 (화) 09:21:30
크게 작게

▶ 임시정부 “850만명 직접 피해”…유엔 “대피소·물·의약품 부족”

▶ 트럼프 “1일 밤 또는 2일 보게될 것…다른 나라보다는 친절”

미얀마 강진 사망자 2천719명으로 늘어…군정 “3천명 넘을 것”

미얀마 만달레이 지진 피해 현장[로이터]

미얀마 강진 발생 닷새째인 1일(현지시간) 지진으로 인한 미얀마 내 사망자 수가 3천명에 육박했다.

이날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지난달 28일 발생한 강진으로 인한 미얀마 사망자가 2천719명으로 늘었다고 이날 TV 연설을 통해 밝혔다.

그는 부상자와 실종자가 각각 4천521명, 441명이며 사망자는 3천명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민주 진영 임시정부 격인 국민통합정부(NUG)는 이날 별도 발표에서 이번 지진으로 2천400명 이상 사망하고 수천 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NUG는 이어 "850만명 이상이 직접적인 피해를 봤다"며 유엔과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에 인도주의적 지원이 신뢰할 수 있는 단체를 통해 피해자에게 직접 전달되게 해달라고 촉구했다.

NUG는 "지진 이후에도 긴급한 인도주의적 노력을 방해하는 군정의 지속적인 공습으로 비극이 악화하고 있다"며 "미얀마 국민들은 즉각 지원이 절실하며 국제사회 연대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국제 구조대가 수도 네피도와 제2 도시 만달레이에 일부 도착했지만 다른 피해 지역은 여전히 도움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인권단체 국제앰네스티도 모든 구호단체가 군정이 통제하지 않는 지역에도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엔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은 이날 대피소와 깨끗한 물, 의약품이 부족으로 인명 피해가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OCHA는 만달레이에서 지진 당시 유치원이 무너져 아동 50명과 교사 2명이 숨지기도 했다고 전했다.


'골든타임'으로 꼽히는 72시간이 지나면서 사상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간간이 극적인 구조 소식도 전해졌다.

이날 오전 네피도에서 건물 잔해에 묻혀있던 63세 여성이 지진 발생 91시간 만에 구출됐다고 당국이 밝혔다.

미얀마에서는 지난달 28일 중부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떨어진 지점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해 많은 건물이 무너지고 사람들이 매몰됐다.

당시 지진 여파로 1천㎞ 이상 떨어진 태국 수도 방콕에서도 공사 중인 30층 높이 빌딩이 무너지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

이번 지진으로 태국에서는 20명이 숨졌으며, 34명이 다쳤다. 74명은 실종 상태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