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부문별 관세에도 전념…불공정한 모든 나라에 부과”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오는 4월 2일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도 부과 대상 국가 등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31일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다른 나라가 관세를 면제받기 위해 할 수 있는 게 있냐는 질문에 "유감스럽게도 이 나라들은 너무 오랫동안 우리나라를 갈취해왔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레빗 대변인은 유럽연합(EU)의 50% 유제품 관세, 일본의 700% 쌀 관세, 인도의 100% 농산물 관세, 캐나다의 300% 버터·치즈 관세 등 다른 나라의 불공정 무역 사례를 나열했다.
그는 "지난 수십년간 이런 관세가 미국 제품을 이런 시장으로 수입하는 것을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들고, 많은 미국인이 폐업하고 일자리를 잃게 했다. 그러니 이제는 상호주의의 시간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4월 2일 발표하는 관세가 국가별이냐 부문별이냐는 질문에 "수요일의 목적은 국가별 관세이지만 대통령은 분명히 부문별 관세 부과에도 전념하고 있다고 말해왔다. 난 대통령이 그 결정을 언제하고 언제 발표할지는 그에게 맡기겠다"고 답했다.
그는 상호관세 부과 대상국의 숫자 등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할 것이라는 답변을 반복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보좌관들로부터 관련해 몇가지 안(案)들을 보고받았으며 최종 결정은 대통령이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현재로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어떠한 국가 단위의 관세 면제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호주같이 대미 관세가 없지만 비관세 장벽이 있는 나라도 상호관세 부과를 예상해야 하냐는 질문에 "미국인을 불공정하게 대우한 모든 국가는 관세를 예상해야 한다"고 답했다.
농가를 위해 일부 관세를 면제할 수 있냐는 질문에는 "이 시점에 면제는 없다"라고 말했다.
그는 주식시장의 부정적인 반응 때문에 관세 정책을 재검토할 수 있냐는 질문에도 "대통령이 항상 말했듯이 주식시장은 한 시점을 포착한 것에 불과하며 대통령은 일반 미국인을 위해 최선인 일을 하고 있다. 1기 행정부 때 그랬듯이 월가는 이번 행정부에서도 괜찮을 것"이라고 답했다.
레빗 대변인은 이른바 '시그널 게이트'에 연루된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을 상태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매우 분명히 밝혔듯이 마이크 왈츠는 대통령 국가안보팀의 중요한 부분을 계속 맡고 있으며 백악관에서 이 사건은 종결됐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