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찰에서 스님들이 발우(밥그릇)을 이용하여 식사를 하고 있다 <연합>
식재료 본연의 맛을 살려 불교 정신을 담아낸 한국의 절밥이 국가유산이 된다.
국가유산청은 '사찰음식'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할 예정이라고3월 21일 밝혔다.
사찰음식은 불교 정신을 담아 사찰에서 전승해 온 음식으로, 승려들이 일상에서 먹는 수행식과 발우공양 등을 포괄한다. 사찰마다 다양한 음식이 전해져 오는데 육류와 생선, 오신채(五辛菜•마늘, 파, 부추, 달래, 흥거 등 자극적인 5가지 채소)를 쓰지 않고 채식을 중심으로 한다.
국가유산청은 "'살아있는 것을 죽이지 않는다'는 불교의 불살생 원칙과 생명 존중, 절제의 철학적 가치를 음식으로 구현해 고유한 음식 문화를 형성해왔다"고 설명했다. 발효식품을 중심으로 한 조리 방식,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식재료를 활용한 점 등은 다른 나라 사찰음식과 차별되는 독특한 점으로 꼽힌다.
사찰음식은 오랜 기간 우리 식문화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오늘날에는 채소 위주의 간소한 재료로 조화를 이루는 사찰 음식이 세계 곳곳에서 관심을 끌면서 유명 셰프들도 주목하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검토한 뒤, 무형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무형유산 지정을 확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