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리핀 레사·러 무라토프
▶ 1935년 후 첫 언론인 수상

마리아 레사(왼쪽), 드미트리 무라토프 [로이터=사진제공]
올해 노벨평화상 영예는 표현의 자유를 수호하는 데 기여한 공로로 필리핀의 마리아 레사(58), 러시아의 드미트리 무라토프(59) 등 언론인 2명에게 돌아갔다.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민주주의와 지속되는 평화를 위한 전제 조건인 표현의 자유를 지키려는 노력을 높이 평가해 이들 2명을 2021년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8일 발표했다.
노벨위는 “레사와 무라토프는 필리핀과 러시아에서 표현의 자유를 위한 용감한 싸움을 벌였다”며 “이들은 민주주의와 언론의 자유가 점점 더 악조건에 직면하는 세상에서 이러한 이상을 옹호하는 모든 언론인을 대표한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언론인의 노벨평화상 수상은 독일이 1차 세계대전 뒤 비밀리에 재무장하고 있다는 사실을 폭로한 독일 카를 폰 오시에츠키의 1935년 수상 이후 처음이다.
레사는 필리핀에서 커지는 권위주의와 폭력의 사용, 권력 남용을 폭로하기 위해 표현의 자유를 활용한 인물로 평가받았다. 그는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의 ‘눈엣가시’로 꼽히는 온라인 탐사보도 매체 ‘래플러’(Rappler)의 공동설립자다. 레사는 특히 두테르테 대통령이 전 세계적 논란을 일으킨 ‘마약과 전쟁’을 집중적으로 비판했다.
또한 레사와 래플러는 소셜미디어를 통한 가짜뉴스 확산, 반대파 탄압, 여론 조작을 기록하는 데도 힘을 쏟았다. 레사는 노르웨이 TV2 채널과 한 인터뷰에서 “(필리핀) 정부가 분명 기쁘지는 않을 것”이라며 “약간 충격이고 감정이 북받친다”고 소감을 밝혔다.
무라토프에 대해 노벨위는 “러시아에서 수십 년에 걸쳐 점점 더 험난해지는 환경에서 언론의 자유를 수호해 왔다”고 평했다.
그는 1993년 독립 신문인 노바야 가제타를 공동 설립했다. 이 매체는 팩트에 근거한 저널리즘과 기자 정신을 바탕으로 검열사회로 비판받는 러시아에서 중요한 정보 제공처로 주목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