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장 재활, 관상동맥 중재술 5년 사망률 45~47% ↓
어떤 질환도 사망률을 30% 정도 낮출 수 있는 약물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그러나 심혈관 질환은 수술 또는 약물 치료 외에도 전문적인 생활 습관 교정과 유지로 사망률을 30% 이상 낮출 수 있다.
실제 심장 재활로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환자의 5년 사망률은 45~47%(미국 메이요클리닉),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재입원율은 25%, 사망률은 47% 감소했다(미국내과학회지)는 연구도 있다.
이동재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는 “심혈관 질환 환자 대부분은 수술이나 시술, 약물 치료가 심혈관 질환 치료의 전부라고 생각한다”며 “하지만 이들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심장 재활”이라고 했다.
이 교수는 “심장 재활 프로그램은 심장병 재발ㆍ사망률을 낮춰 삶의 질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미 학계에서 효과를 인정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심장 재활은 심혈관 질환 환자가 이전의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나아가 신체ㆍ정서ㆍ사회적으로 건강하고 생산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운동과 교육의 종합적인 프로그램이다.
대상은 허혈성 심장병, 심부전증, 부정맥, 고혈압, 말초혈관 질환 등을 비롯해 관상동맥 우회로술, 관상동맥 성형술, 심장이식, 심장 판막 치환술, 인공 심장 박동기를 몸 속에 넣은 심혈관 질환 환자를 모두 포함한다.
심장 재활의 목적은 전신 운동 능력을 향상시켜 정상적인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의 수행이 가능할 정도로 회복시키고, 심혈관 질환 재발이나 이로 인한 입원과 재관류술 필요성을 줄여 사망률을 낮추는 데 있다.
이동재 교수는 “심장 재활이 사망률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이유는 운동을 통한 다양한 메커니즘의 심혈관 보호 효과와 함께 심혈관 질환의 여러 위험 인자 관리가 보다 충실하게 이뤄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심장재활은 크게 △심장 재활 평가 △심장 재활 치료 △심장 재활 교육으로 나눈다. 10가지 핵심 구성 요소 모두 목표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0가지 핵심 구성 요소는 △환자 평가 △식이요법 △체중 관리 △혈압 관리 △혈중 지질 관리 △당뇨 관리 △금연 △사회심리적 관리 △신체활동 상담 △운동 치료 등이다.
또 재활 시기에 따라 △입원 △통원 △지역사회 프로그램으로 구분하는데, 입원 심장 재활은 입원 후 심혈관 증상과 심전도, 심근 효소치 등이 48시간 이상 안정상태를 유지해야 시작할 수 있다. 보통 합병증이 없는 단순 심근경색 환자는 발병 2~3일께부터 의료진의 보호 하에 낮은 강도의 운동을 시작한다.
통원 심장 재활은 퇴원 후 첫 1~3주가 적기다. 의학적 또는 사회경제적 이유로 시기를 놓치게 되더라도 발병 후 3개월 내에는 시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격적인 운동을 시작하기에 앞서 사전 병록 조사와 함께 의학적 평가, 심폐 운동 부하(cardiopulmonary exercise stressㆍCPX) 검사를 시행해 운동으로 인한 심장 발작 위험도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운동 처방과 안전 지침을 마련한다.
검사 결과, 고위험군에 속한 환자는 6~12주간 병원에서 관리를 받으며 운동이 필요하다. 뇌졸중, 근골격계 통증, 장기 침상 안정에 의한 체력 저하, 고령 등 다른 합병증으로 통원 치료가 어려운 일부 환자는 입원 기간을 연장하거나 재입원해 심장 재활이나 해당 합병증에 대한 포괄적인 치료를 시행한다.
지역사회 심장 재활은 운동으로 인한 심혈관 합병증 위험성이 현저히 감소한 안정된 상태의 환자에게 적용된다. 심장 질환 발병 후 2~4개월에 시작해 평생 꾸준히 지속한다.
이동재 교수는 “무엇보다 운동능력이 어느 정도 회복됐다고 운동을 중단하면 운동으로 얻은 수많은 이익이 몇 주 내에 소실되므로 환자 스스로 운동을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감독하고 격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운동 치료는 보통 환자 최대 심박수의 40% 운동 강도로 시작해 6~12주에 걸쳐 심박수의 85% 운동 강도까지 강화한다. 운동은 한 번에 1시간 정도하고 준비운동, 마감운동을 제외한 본 운동은 30~40분으로 한다.
대부분 강도 조절이 쉬운 러닝머신이나 고정식 자전거로 진행한다. 이때 환자들은 몸에 심전도 검사기기를 달아 의료진이 심전도와 혈압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운동 치료 기본 권장 횟수는 1주일에 3회씩 3개월, 총 36회다.
이동재 교수는 “달리기나 자전거 타기 등이 불가능할 경우 ‘체외 역박동 치료(EECP)’를 통해 외부 압력을 이용해 심장근육에 혈액과 산소를 공급해줌으로써 심장근육을 강화하고 신생 혈관 생성을 돕는다”고 했다.
<
권대익 의학전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