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신 맞아도 코로나 감염되는 이유는
▶ 주변에 미접종자 많을 경우 바이러스 증가, 접종자 감염돼도 중증·입원·사망은 드물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마쳤는데 코로나19에 감염되어 확진 판정을 받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 LA 카운티 보건국은 지난 6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의 20%가 백신 접종자들에게 발생했다고 밝혔다. 백신을 맞고도 돌파 감염이 발생하는 이유는 뭘까. 백신 접종을 마친 사람의 경우 돌파감염이 피해는 어느 정도가 될까. 최근 LA타임스가 ‘돌파감염’의 원인과 위험도, 예방책을 정리했다.
캘리포니아는 여전히 집단 면역을 달성하지 못한 상태다. 코로나19 감염이 증가하면 백신 접종을 마친 사람들의 면역 체계에도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보건 당국은 더 많은 백신 접종자들이 코로나19 검사 양성 반응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바바라 퍼레어 카운티 보건국장은 백신 미접종자들이 많이 모여있는 장소에 백신 접종자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2명의 감염자가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것과 미접종자 30명이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것은 매우 다르다며 이 경우 백신 접종자일지라도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고 밝혔다.
델타 변이가 돌파 감염의 위험을 높인다기 보다 바이러스 확산이 증가하면서 백신 접종자들의 감염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백신을 맞았는데도 코로나19에 감염되는 이유는 애초 백신의 예방률이 100%가 안되기 때문이다. 백신별 효능을 보면 화이자-바이오엔텍 95%, 모더나 94%, 존슨앤존슨 72%로 알려져 있다. UC샌프란시스코 조지 러더포드 박사가 올해 초 지적했듯이 바이러스에 노출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그만큼 돌파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
다만 돌파 감염이 된 경우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중증 이행되거나 입원, 사망하는 사례가 드물다.
국립알레르기감염병 연구소 소장인 안소니 파우치 박사는 “어떤 백신도 100%의 효능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백신이 감염에 대해 완전히 보호하지 않더라도 일반적으로 심각한 증세로부터 보호해준다”고 밝혔다.
파우치 박사는 백신 접종자가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상부기도의 코로나바이러스 수준이 미접종자에 비해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바이러스가 적다는 것은 질병의 중증도가 낮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또, 바이러스가 적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할 가능성도 낮아진다는 가정이 타당해진다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LA카운티 보건국이 백신 접종 유무와 상관 없이 실내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는 이유는 두 가지다. 백신 미접종자들이 마스크 착용으로 감염을 줄이고, 혹시라도 무증상 혹은 경미한 증상을 지닌 백신 접종자들이 바이러스를 전파할 우려를 막자는 이유다.
<
하은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