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무부 “핵합의 약속 불이행 확대에 우려”
미국 국무부는 6일 이란이 농축된 금속 우라늄을 생산한다는 지적이 제기된 데 대해 "벼랑 끝 전술"이라며 중단을 촉구했다.
로이터·AFP 통신에 따르면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란이 농도 20% 수준의 금속 우라늄 생산 조처를 했다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보고서 내용에 대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란에 대해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원을 촉구하면서 외교의 창은 여전히 열려 있다고 덧붙였다.
AP통신에 따르면 IAEA는 이날 이란이 농도 20%의 금속 우라늄 생산 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금속 우라늄은 우라늄을 금속 막대 형태로 만든 것으로, 잠재적으로 핵무기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이다.
국제사회는 이란의 금속 우라늄 생산이나 관련 연구가 핵합의 위반이라고 지적해왔다.
핵합의는 2015년 이란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 및 독일 등 6개국과 맺은 것으로, 이란 핵 활동을 제한하는 대신 대이란 제재를 해제하는 내용이다.
이란은 이 합의에 따라 15년 동안 핵폭탄 연료로 사용될 수 있는 금속 우라늄 생산에 관여하거나 관련 연구 개발을 수행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18년 합의 탈퇴를 선언하고 제재를 부활시키자 이란도 핵 활동을 일부 재개했다. 조 바이든 미 행정부는 합의 복귀를 추진하고 있다.
이란은 4월 초부터 오스트리아 빈에서 미국 외의 5개국과 만나 핵합의 복원 협상을 시작했다. 이란은 미국과 대화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회담 과정에서 간접적으로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