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늘 하루 이 창 열지 않음닫기

양반다리·쪼그려 앉기·무릎 꿇는 자세 오래 하다간…

2021-07-06 (화) 권대익 의학전문 기자
크게 작게

▶ ‘하녀의 무릎병’ 추벽증후군 노출 위험

직장인 박모(34·여) 씨는 다어이트를 위해 줄넘기를 시작해 1,000개 이상은 무리 없이 할 수 있게 됐다. 그런데 줄넘기를 하다가 무릎에 통증이 왔다.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했더니 증상이 금방 사라졌다. 그런데 2주 뒤부터 걷기만 해도 무릎에서‘뚝’ 소리가 들렸고 통증이 점점 심해졌다. 무릎통증 탓에 운동을 못해‘요요 현상’까지 오자 병원을 찾았더니‘추벽증후군(plica syndrome)’ 진단을 받았다.

무릎을 다치지도 않았는데 어느 순간 무릎 주변이 붓고 통증이 생길 때가 있다. 흔히 무릎 통증은 고령인 관절염이 원인으로 지목되지만 젊은이도 격렬한 유산소 운동을 즐기고 무릎을 굽혔다 펴는 동작을 자주 하면 무릎 질환에 노출된다.

종아리뼈와 허벅지뼈를 이어주는 무릎은 뼈ㆍ인대ㆍ연골 등을 비롯해 복잡한 구조로 이뤄져 무릎연골의 퇴행성 변화로 인한 관절염 외에도 점액낭염ㆍ추벽증후군ㆍ활액막염 등이 발병할 수 있다.


부상한 적이 없는데 무릎에서 ‘똑똑’ 소리가 나면서 통증이 생기면 추벽증후군일 가능성이 있다. 추벽(皺)은 무릎 속 부드럽고 얇은 막으로 생후 6개월에서 1년 안에 사라지지만 성인 3명 중 1명에게는 그대로 남아 있다.

등산ㆍ줄넘기ㆍ자전거ㆍ마라톤처럼 무릎을 많이 사용하는 스포츠를 즐기면 추벽이 굵어지거나 두꺼워진다. 무릎을 계속 혹사시키면 추벽이 주변 관절 조직과 부딪히면서 뚝뚝 소리가 나고 연골이 손상된다.

남성보다 여성에게 많이 나타난다. 남성은 슬개골을 감싸고 있는 대퇴사두근의 근력이 강해 무릎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하지만 여성은 근육량이 적고 약해 충격이 관절에 곧바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무리한 식단 조절도 무릎을 약화시키는 요인일 될 수 있다.

추벽증후군은 무릎관절염과 놀라울 정도로 증상이 비슷하다. 그나마 관절염은 무릎을 움직일 때 머리카락이 스치는 듯한 가벼운 소리가 나고, 추벽증후군은 마치 뼈가 부딪히는 ‘우두둑’ 소리가 들리는 점이 차이가 난다.

X선ㆍ자기공명영상(MRI)ㆍ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진단하기 어렵다. 추벽과 무혈관 조직인 연골의 미세한 변화를 영상 촬영으로도 알아내기 어려워 숙련된 관절 전문의가 환자의 증상과 연령, 외관상 변화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한 뒤 관절 내시경으로 내부 조직을 살펴 판단한다.

추벽 상태가 양호하고 연골 손상이 적다면 약물ㆍ물리 치료로 고칠 수 있다. 만성화돼도 관절 내시경으로 유착을 일으키는 추벽 일부를 제거하면 된다.

추벽증후군 자체는 정형외과에서 가벼운 질병으로 여겨지지만 오래 방치하면 추벽이 주변 대퇴연골과 계속 마찰을 일으켜 연골연화증이 될 수 있다. 연골연화증은 무릎연골 탄력이 없어지고 물렁해지는 것으로 퇴행성 관절염 발병을 앞당기는 원인이다.


무릎이 전반적으로 붓고 열이 나며 물이 차는 느낌이 나면 ‘무릎 활액막염’일 가능성이 높다. 활액막은 무릎관절을 감싸는 관절낭 안쪽에 위치한 얇은 막이다. 관절 움직임을 부드럽게 해주고 연골에 영양을 공급하는 윤활액을 분비한다. 외상이나 과도한 무릎 사용으로 활액막에 염증이 생기면 윤활액이 과다 생성돼 무릎 전체가 붓고 화끈거리게 된다.

무릎 주변을 만지면 물컹거리는 느낌이 들고 부종으로 무릎이 잘 구부러지지 않는다. 일반 무릎관절염은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무릎관절을 사용할 때 통증이 심해지지만 활액막염은 가만히 있어도 아프다.

평소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을 반복해서 걸으면 무릎관절이 손상돼 활액막염이 생길 수 있다. 무릎관절을 보호하려면 오르막에서는 상체를 앞으로 약간 숙이고 보폭을 작게 하고, 내리막에서는 무릎을 좀 더 많이 굽혀 무게중심을 낮추는 게 좋다.

<권대익 의학전문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