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제대로 쓰지 못한 2020년

2020-11-30 (월) 김경희/소아과 전문의
크게 작게
아이슬란드의 수도 이름은 스펠링이나 발음이 하도 어려워 시험 공부 하던 식으로 열심히 쓰고 외웠다. 레이키야빅( Reykjavik), 레이키야빅, 레이키야빅…
따뜻한 내복 두어 개 더 챙기고. 그리고 나서 하늘의 매직 쇼, 오로라를 기억에 잘 담으려면 카메라의 셔터를 어디에 두나 궁리하다가 잠이 든다.

두어 달 후 햇볕이 쨍하는 봄과 여름의 중간쯤 되는 날에는 그리스의 섬들을 돌다가 잔잔한 지중해 바다에 떠 있는 커다란 배들을 바라 보며, 재클린 케네디 오나시스의 흔적을 찾아보려 기웃거리는 꿈을 꾼다.

“금년 예약 한 여행은 모두 취소 되었습니다. 예약 한 돈은 보험료만 빼고 전액을 돌려 드리겠습니다. ” 여행사 직원의 지친 목소리다. 그러리라 예상을 했지만 아쉽고 화도 나고.


할 수 없지, 버킷 리스트에 다시 넣어 놓을 수 밖에. 들떠 있던 , 둥둥 떠 있던 기대는 오뉴월에 삼배 잠뱅이 사이로 소리 없이 빠져 나가는 방귀처럼 새어 나가 버렸다. 오늘 하루는 뉴스를 보지 않으리라는 작심은 반나절에 끝나고, 다시 뉴스 중독자로 돌아간다.

한 숨 깊이 들이쉬고 나니 만추가 내 앞 마당에 와 있다.
뜰에 서 있는 키가 큰 나무의 노란 색, 빨간색, 주홍 색 이파리들은 조르즈 쇠라의 점묘법의 붓 끝으로 꼭꼭 찍어 화면을 채우면 훌륭한 그림이 될 텐데. 사그락 사그락 작은 소리로 불평 하는 가랑잎들을 조심스럽게 밟으며 산책 길에 나섰더니 ‘복면 강도’ 차림의 사람들이 드문 드문 길에 널려 있다.

핼로윈 복장? 아니. 봄에도 여름에도 같은 복장이었는데, 아~~, 판 데 믹, 마스크!! 내 앞에 오던 사람이 나를 비켜 가고 나도 가까이 오는 사람을 피해 길을 건넌다. 공포 영화 속에 갇혀 깨어날 수가 없다.

2020년의 유행어들. 에피데믹, 판데믹, 코로나 바이러스, 노블 코로나 바이러스, 코비드-19, 우한 바이러스, 중국 바이러스, 쿵후 바이러스
어릴 적, 사흘 동안 덜덜 떨다가 열이 나면 ‘학질’ 이라고 우리 애들도 모두 잘 알고 어른들께 묻지도 않고 부엌 선반에서 잘 찾아 먹던 ‘키니네’라 부르던 약, 아프리카 여행 갈 때 말라리아 예방으로 먹었던 약, ‘하이드록시 클로로퀸( Hydroxy Chloroquine)’을 대통령이 선전 한다.

병원에 입원할 정도로 아프면 쓰는 약들, ‘모노 클로날 항체 ‘ 와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고 말짱이 나은 내 올케는 피 검사 했더니 항체가 생겨 되려 더 잘 됐다고 좋아한다.
그런가 하면 남편의 친구 한 분은 앰뷸런스에 실려 가서 20일 만에 ‘재'가 되어 부인에게 돌아왔다.

사회적 거리 두기, 자가 격리, 마스크! 마스크! 마스크!, 테스팅 테스팅 테스팅, 컨택 트이싱, 줌 미팅, 백신 . 이제 악몽에서 깨어날 길이 희미하게 보인다.
2020년은 내 나이에 더 하지 않겠다. 제대로 쓰지 못했으니까.

<김경희/소아과 전문의>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