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 “저금리가 주택 투자 늘리지 못하는 시점 왔을 수도”

뉴욕의 주택시장이 위축된 것으로 평가된 가운데 한 주택앞에 판매 사인이 내걸렸다. [AP]
세계 경기가 둔화하면서 주요국 주택시장이 동시에 위축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월스트릿트저널(WSJ)은 27일 경제분석기관 옥스퍼드 이코노믹스 자료를 인용해 18개국의 주택투자 규모가 작년 3분기까지 4분기 연속 감소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이후 가장 긴 감소다.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이 인플레이션을 반영해 추산한 작년 3분기 세계 23개국의 주택가격 역시 1년 전 대비 1.8% 상승에 그쳤다.
부동산 정보 업체 나이트 프랭크가 집계한 작년 3분기 45개 대도시의 상위 5% 고급주택 가격도 전년 대비 1.1% 오르는 데 그쳤다. 나이트 프랭크의 조사 대상 도시의 고급주택 가격 중에선 뉴욕(-4.4%), 서울(-12.9%), 밴쿠버(-10.2%), 런던(-3.9%) 등이 비교적 하락 폭이 컸다.
주택 시장의 위축은 세계 경기가 둔화하는 가운데 미중 무역갈등과 홍콩 시위 등으로 불확실성이 가세하면서 부동산 투자심리가 냉각된 점이 주된 이유로 꼽히지만, 각국의 부동산 규제 강화도 원인 중 하나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주택투자가 위축되면서 2017∼2019년 세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0.3%포인트가량 끌어내린 것으로 추산했다.
그러나 주택가격의 안정은 실수요자의 구매 여력을 높이고 부동산 거품을 줄이는 등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지적이다.
댈러스 연준 소속 이코노미스트인 엔리케 마르티네스-가르시아는 많은 국가에서 주택값이 소득보다 빠르게 상승했지만, 금융위기 이전 만큼은 아니라면서 초저금리에도 주택값 상승률이 둔화하는 데 대해 “장기금리 하락이 더는 주택투자를 늘리지 못하는 시점에 도달한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