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점찾기 실패, 여야협상 교착 장기화
▶ 여론조사 결과 미국인 과반 “트럼프 책임”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이 역대 최장기록인 21일을 넘어 13일 23일차를 맞이했으나 여전히 트럼프와 민주당의 기싸움으로 해결기미를 보이지 않는 가운데 12일밤 백악관 뜰에 눈발이 휘날리고 있다.[AP]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이 역대 최장기록을 넘어 계속됐다.
멕시코 국경장벽 예산안을 둘러싼 트럼프 대통령과 야당 민주당의 대치로 빚어진 셧다운은 13일 0시를 기해 23일차로 접어들었다.
이로써 트럼프 행정부의 셧다운은 빌 클린턴 행정부 당시(1995년 12월 16일∼1996년 1월 6일)에 세운 기존 기록인 21일을 넘어섰다.
국경장벽을 두고 대치 중인 민주당과 여당인 공화당은 12일에도 예산안 처리에 합의하지 못했다. 교착상태는 4주 차로 접어들며 장기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등록 이민자들의 유입이 국가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한다는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민주당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배타적 주장이 부도덕하다는 이유로 국경장벽 예산 자체를 거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민주당을 향해 협상 테이블로 나오라고 연일 압박하면서도 '장벽건설 예산 고수' 주장에서 물러설 수 없다는 강경한 태도를 보이는 가운데 민주당도 '양보 불가' 입장을 견지하고 있어 셧다운 사태의 해결 기미가 좀처럼 보이지 않고 있다.
여야의 논의가 헛바퀴를 도는 상황에서 셧다운 이후 연방정부의 첫 급여 지급일인 11일 80만명의 공무원을 임금을 받지 못해 생활고가 가중됐다.
한편 연방정부 셧다운이 장기화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역풍이 불 조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일 '민주당 셧다운'이라고 강조하며 민주당에 이번 사태의 책임을 돌리고 있지만 정작 여론은 반대로 흐르는 모습이다.
CNN방송이 여론조사기관인 SSRS를 통해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5%는 '셧다운 책임론'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을 꼽았다. 민주당에 책임이 있다는 응답자는 32%에 그쳤다. 트럼프 대통령과 민주당 모두 책임을 져야 한다는 답변은 9%였다.
지난 10~11일 미국 성인 848명을 상대로 진행된 여론조사로, 표본오차는 ±4.1%포인트다.
워싱턴포스트(WP)와 ABC방송의 공동 여론조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응답자의 53%는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에 셧다운의 책임이 더 크다"고 답변했다. 민주당의 책임이 더 크다는 답변은 29%였다. 13%는 양쪽 다 책임이라고 답했다.
정치 성향에 따라 극명하게 의견이 엇갈린 가운데 무당파 계층이 '트럼프 책임론'에 무게를 실은 결과로 해석된다. 무당파 계층에서 53%는 트럼프 대통령 및 공화당에, 23%는 민주당에 각각 책임이 있다고 답변했다.
지난 8~11일 미국 성인 788명을 조사한 것으로 표본오차는 ±4.5%포인트다.
앞서 CBS방송이 여론조사기관 유거브(YouGov)와 함께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절반이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에 화살을 돌렸다.
셧다운으로 가장 비난받을 대상을 묻자 응답자의 47%는 트럼프 대통령, 3%는 공화당을 각각 지목했다. 30%는 민주당을 꼽았다.
20%는 모두 똑같이 비난받아야 한다고 답변했다.
또 미국인의 3분의 2는 셧다운의 해법으로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는 것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BS 방송은 여론조사기관 유거브(YouGov)와 함께 9∼11일 전국의 성인 1천470명을 상대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교착 상태에 빠진 셧다운 사태의 해법으로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해 국경장벽에 예산을 대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지만 조사 결과 응답자의 67%는 이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찬성한다는 의견은 33%였다.
다만 정파별로는 입장이 뚜렷이 갈렸다. 민주당 지지자는 11%가 찬성하고 89%는 반대했지만 공화당 지지자는 75%가 찬성하고 반대는 25%에 그쳤다.
정부 셧다운 사태의 대처에 대한 평가는 모두에게 박했다. 대통령이 셧다운에 대처를 잘했다는 의견은 35%에 그쳤고, 55%는 못마땅해했다.
민주당도 잘했다(33%)보다 못했다(46%)는 의견이 많았고, 공화당은 잘했다(21%)가 못했다(53%)의 절반도 안 됐다.
멕시코와 마주한 국경의 상황이 '위기'(crisis)라는 의견은 34%였다. 이보다 많은 55%는 '문제(problem)이긴 하지만 위기는 아니다'란 의견이었고, 11%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답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