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의 감세 등 경기부양 정책 덕에 호조를 보였던 미국 경제가 지난 2분기를 정점으로 급속히 악화될 것이란 경제전문가들의 전망이 나왔다.
올 2분기 4.2%(연율기준•전분기대비)까지 치솟았던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내년 2.4%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고 2020년엔 경기침체 가능성까지 제기됐다.
경제전문방송 CNBC는 경제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경제전망을 설문한 결과 이렇게 집계됐다고 22일 보도했다.
이들이 예측한 내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평균 2.4%였다.
이는 지난 2분기 4.2%, 3분기 3.5%와 비교하면 크게 낮은 수준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올해 연간 3% 성장 달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
올해 미국 경기는 감세 정책 덕에 정점을 찍었지만, 내년부터는 그 효과가 떨어지면서 2% 내외였던 종전의 장기 성장 추세의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란 의미다.
경기 둔화의 주요 요인으로는 감세효과 감소,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무역 전쟁과 관세 타격 등이 꼽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