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도발 이후 북한에서 가장 가까운 미국 주인 하와이에서 1일 30여년 만에 처음으로 핵공격 대피 사이렌이 울렸다. 이날 하와이에서는 냉전시대 이후 처음으로 북한의 핵 미사일 공격을 가상한 주민대피 훈련이 진행됐다. 미국의 주 가운데 북한 핵 위협에 대응해 주민대피 훈련을 실시한 것은 하와이 주가 처음이다. 이날 하와이주 비상 관리국의 직원들이 센터 지휘센터에서 모니터를 보며 상황을 체크하고 있다.[AP]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5형을 시험 발사해 핵 위협이 고조된 가운데 북한에서 가장 가까운 미국의 주인 하와이에서 1일 30여년 만에 처음으로 핵공격 대피 사이렌이 울렸다.
AP통신과 폭스뉴스 등은 하와이에서 북한의 핵 미사일 공격을 가상한 주민대피 훈련이 처음으로 진행됐다고 일제히 전했다.
하와이 주 정부 비상관리국(HEMA)이 주관한 이번 훈련은 북한의 화성-15형 미사일 발사 이전에 기획된 것이지만, 최근 미사일 발사로 북핵 위기가 고조됨에 따라 하와이뿐 아니라 미 본토에서도 큰 관심을 보였다.
미국의 주 가운데 북한 핵 위협에 대응해 주민대피 훈련을 실시한 것은 하와이 주가 처음이다. 또한 옛 소련 핵무기와 대치하던 시기인 1980년대 냉전시대 이래로 30여년 만에 처음 진행된 사이렌 대피 훈련이다.
하와이 주 정부 비상관리국은 현지시간으로 이날 오전 11시 45분 첫 사이렌을 울렸다.
기존 쓰나미 경보 시스템을 활용한 사이렌은 50초간 평온한 톤으로 이어졌고 10초 간격을 두고 요동치는 파장으로 1분간 비상 경보 사이렌이 울렸다. 오아후 섬에 있는 180개를 비롯해 하와이 주 전역의 385개에 달하는 사이렌 장비가 동시에 가동됐다.
하와이 주 정부는 주민과 관광객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매달 1일(영업일 기준) 핵공격 대피 훈련을 지속해서 실행할 계획이다.
하와이 주 관내 초·중·고교에서도 수업 도중 교실 문을 잠그고 냉방장치를 끈 다음 냉전 시대에 하던 방식인 '웅크리고 숨기'(duck and cover) 형태의 대피훈련이 진행됐다.
하와이 주 정부는 "사이렌이 울리면 주민들이 실제로 핵 공격에 대비해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딱 15분 남았다는 뜻"이라고 경고했다. 비상관리국 측은 "사이렌이 울리면, 일단 실내로 들어가서 대피처에 머물며 라디오 방송 주파수를 맞춰달라"고 주문한 바 있다.
하와이 주 정부는 100킬로톤(kt)급 핵폭탄이 1천 피트 상공에서 터질 경우 반경 8마일에 있는 주민들이 직접적 영향을 받게 되며, 1만8천 명 이상의 사망자와 5만∼12만 명의 부상자가 나올 수 있다고 앞서 경고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