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7일 방한하는 트럼프 대통령...DMZ는 방문 안하기로
▶ 캠프 험프리스→한미정상회담·만찬→국회연설→국립묘지 참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7~8일 한국 방문 기간 한·미 동맹의 중요성과 국제사회의 대북압박 공조를 강조하면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신속한 개정도 주장할 전망이다.
미 정부 고위관계자는 31일 트럼프 대통령의 이달 아시아 순방을 앞두고 한 전화브리핑에서 방한 시 트럼프 대통령은 국회연설을 통해 북핵 위협에 맞서 국제사회가 북한에 대한 최대의 압박에 동참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던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7일 방한 첫 공식 일정으로 경기도 평택의 주한미군기지인 캠프 험프리스를 방문하고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회담 및 국빈만찬을 소화하는 데 이어 8일에는 국회연설과 국립묘지 참배를 한 뒤 다음 행선지인 베이징으로 출국한다.
하지만 성사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었던 비무장지대(DMZ) 방문은 일정상 이유로 결국 제외됐다.
이러한 일정에 비춰보면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대치의 초긴장 국면에서 북한을 자극할 수 있는 DMZ 방문을 포기하는 대신 양국 동맹과 방위 공여를 상징하는 주한미군기지를 방문하고, 국회를 찾아 강력한 대북압박 공조를 강조하는 메시지를 던지는 것으로 방한 밑그림을 그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이 고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의 대북 대화론을 '시간 낭비'로 규정한 것에 대해 "대통령은 외교가 시간 낭비라고 트윗을 한 게 아니라 북한과 '직접대화'가 시간 낭비라고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시 경제가 핵심적인 논의 분야"라며 "트럼프 대통령과 문 대통령은 이미 FTA에 관한 우려를 해결하는 것을 포함해 운동장을 평평하게 하는 공정무역에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 이 고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아시아 순방 기간 문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두 차례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을 연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아시아 순방은 1991년 조지 H.W. 부시 전 대통령 이후 가장 기간이 길고, 2003년 조지 W. 부시 대통령 이후 가장 많은 아시아 나라들을 방문하는 것이라고 고위 관계자는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