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대학생인 23살의 SL 군이 오랜만에 찾아왔다. 어쩐 일이냐고 묻는 내게 그는 " 잘 아시잖아요. 전 봄이 두려워요" 라며 코 막힌 듯한 목소리로 간간히 나오는 잔기침을 참으며 그의 증상을 설명하기 시작했다.
약간 부은 듯한 벌건 눈과 훌쩍거리는 콧물로도 지난 번 차트를 읽을 필요 없이 그의 계절성 앨러지를 진단할 수 있었다. 끝나지 않을 것 같았던 긴 겨울이 지나고 밀려오는 봄 햇살에 만물이 소생하면서 주요 항원 ( allergen) 으로 작용하는 꽃가루가 날리기 시작하고 풀과 나뭇잎이 돋아나기 시작한다. SL 군과 같이 계절성 앨러지로 고생하시는 분들께는 반갑지 않은 변화일 수밖에 없다.
앨러지라는 용어는 1906년 Von Pirquet가 이물질에 신체가 노출되어 발생하는 변형된 면역반응을 일컬어 사용되기 시작했다. 여기에는 신체에 해로운 반응 뿐 아니라 이득이 되는 반응도 포함되고 있다. 지금 보통 앨러지 질환이라고 하면 이러한 과민성 면역반응으로 인한 신체 조직의 기능장애를 일컫는다.
즉 신체가 항원 (allergen)에 접촉하게 되면서 면역세포가 감작되고 앨러지 반응에 직접 관여하는 세포들이 항원과 재접촉 했을 때 용이하게 반응을 일으키는 과감작이 이루어지며 이들 세포가 여러 가지 화학매체 ( chemical mediators) 를 분비하며 염증을 일으키고 증상이 유발되게 된다.
이러한 앨러지 반응은 무반응에서 부터 심각한 장애에 일으키기까지 개인에 따라 큰 차이가 있어 유전적인 요인의 관여가 뚜렷하며 한 가지 항원 ( allergen )이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기도 하고 여러 종류의 원인 물질이 같은 증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같은 꽃가루에 의하여 결막염( 눈의 염증) 이 심한 사람이 있는 가하면 비염으로 더 고생하시는 분들이 있기도 하다. 또한 연령에 따라 앨러지 질환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신생아 시기에는 식품 특히 우유에 과한 위장관 앨러지가 흔하고 소아기에는 피부염, 천식 등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며 사춘기에 들어서면서 앨러지 증상이 많이 가라앉는 것을 보게 된다. 대표적인 계절성 앨러지 ( seasonal allergy ) 질환인 앨러지 비염은 발작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간지러움 등의 증상을 일으키며 연구개 및 인두부위의 가려움증으로 목을 가다듬는 ( throat clearing ) 버릇이 생기기도 한다.
눈과 귀의 가려움증이 동반되기도 하고 소아의 경우 피곤함의 증가, 입맛저하, 복통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계절성 앨러지의 기본 치료는 회피 요법과 약물요법으로 될 수 있은 대로 항원( allergen )의 노출을 회피하는 것과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을 쓰는 것이다.
보통 이러한 치료는 증상 완화에 많은 도움을 주는데 반응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진단명을 생각해 보거나 원인 항원을 알아보는 검사를 추진하여 볼 수 있다. 이러한 검사에는 피부검사 ( skin test), 혈액검사 (예로서 RAST ( Radioallergosorbent test ), 유발검사 ( provocation test) 등이 있다. 이러한 검사를 함에 기억하여야 할 것은, 이러한 검사는 지속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반응이 없거나 미미한 경우, 또한 심한 증상으로 항원의 구별이 필수적인 경우 등 선택된 환자분들에게 가장 큰 유익을 준다는 점이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양성의 결과가 꼭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최근 많은 환자분들이 면역요법 (immunotherapy)으로 효과를 보기도 하는데 이것은 신체 내에 원인 항원을 서서히 주입함으로써 면역 반응을 변형시킴으로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로, 원인 항원의 회피가 불가능하며 약물치료가 충분치 않은 경우 시도해 볼 수 있다. 면역요법은 현재까지 신체의 비정상적 면역반응을 변화시킬 수 있는 유일한 치료방법이다.
요약하면 앨러지는 신체의 과장된 면역반응으로 생기는 신체장애이며 특히 계절성 앨러지의 경우 피하기 어려운 환경요인이 주원인이 되고 최근 발달된 약물 요법으로 증상완화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국소적인 약물치료는 ( eye drops, nasal sprays ) 큰 전신 부작용 없이 보편적으로 처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장정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