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수영·에어로빅 등
강도 낮춰 자주 하면
뼈·근육 강화시켜 주고
통증 줄여주는 효과
류마티스 관절염환자는 어떻게 운동해야 할까?
관절염이 심한 시기에는 운동강도를 낮춰 적절히 해야 하지만 염증이 가라앉을수록 근력 강화운동을 하면 관절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대표적인 증상인 뻣뻣한 증상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주며, 통증을 완화시키는데 좋다.
오히려 관절 통증을 염려해 운동을 하지 않으면 관절의 유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근육을 약하게 만들며 관절변형을 가속화 시킬 수도 있다.
규칙적인 운동은 관절 강직 증상을 완화시켜주며, 근육을 강화하고, 에너지를 충만하게 해 건강에 도움이 된다. 물론 운동의 종류에 따라 관절 손상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주치의의 조언 아래 적절히 운동과 강도 및 운동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어떤 운동?=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는 낮은 강도의 에어로빅이 추천된다. 걷기, 댄스 스포츠 등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 추천된다. 발리나 24 피트니스에서 할 수 있는 러닝머신이나 자전거 머신에서 낮은 강도로 운동하는 것도 좋다. 일립티컬 트레이너(elliptical trainer)는 낮은 강도로 운동하면 팔 다리를 모두 운동하며,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수영은 몸 전체 관절 건강에 좋다. 보드를 잡고 다리만 움직여서 수영해도 좋다. 서서히 하루 30분에서 천천히 몸 상태에 따라 시간을 늘린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는 심혈관계 질환 발병 위험이 높다. 에어로빅이나 걷기 같은 유산소 운동은 혈압을 낮추고 콜레스테롤을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좋다. 춤이나 걷기 등 운동은 골다공증예방에도 좋다.
#얼마나 운동하나?=매일 짧게 몇 분간씩 운동하다가 천천히 시간을 늘린다. 적당한 강도로 운동하되 매일 운동하며 운동이 습관으로 자리 잡으면 하루에 30~60분간 운동한다.
#웨이트 리프팅(weight lifting) 같은 운동해도 되나?=웨이트 리프팅 같은 근육을 탄탄하게 하는 운동을 하면 근육을 튼튼하게 해주고 운동성을 높여 관절 통증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손가락 스트레칭=팔을 앞으로 나란히 한 뒤 주먹을 쥐었다가 손가락을 모두 쫙 펴면서 스트레칭 한다. 다시 주먹을 쥐었다가 손가락을 쫙 펴서 몇 번씩 반복한다. 처음에는 대여섯 번 하다가 20번까지 횟수를 늘여 하루 2회 정도 한다. 손가락 스트레칭에 익숙해지면 작은 스폰지 공이나 테니스볼을 쥐었다가 펴는 방법으로 응용해도 좋다.
#강도 높은 운동은 피해야=조깅, 달리기, 테니스, 농구 등 강도가 높고 관절에 무리가 주는 운동은 피한다.
<정이온 객원기자>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라도 낮은 강도의 운동을 꾸준히 해야한다. 웨이트 리프팅 같은 운동은 근육을 탄탄하게 해 관절 통증감소 효과를 가져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