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 조금씩 자주 하고
소다·매운 음식 피해야
인후두 역류질환(Laryngophary ngeal Reflux)은 위식도 역류질환(GERD)과 매우 비슷한 질환이다. 하지만 증상이 다소 다르다.
위 식도 역류질환의 전형적인 증상인 가슴 아래 오목한 부위의 타는 듯한 속 쓰림(heartburn)증상을 대개는 느끼지 못해 ‘침묵의 역류질환’으로 불리기도 한다. 위 식도 역류질환처럼 식도 하부에서 위로 연결되는 하부식도 괄약근이 약해져 제대로 운동하지 못해 생긴다. 위산이 목구멍이나 후두, 심지어는 콧속까지 역류해 점막에 여러 손상과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인후두 역류는 아직 위, 식도 부위가 미성숙한 아기나 유아에게서 잘 나타난다. 또 아기나 유아는 식도도 짧고, 거의 누워있기 때문. 유아의 경우 천식반응이나 만성기침, 목 쉰 소리, 호흡할 때 쉰 소리가 나거나 무호흡 증상(코골이), 체중 미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유아는 발달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지만 성인의 경우 장기간 방치하면 심할 경우 암을 유발할 수도 있으며 천식, 폐기종, 기관지염 등이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증상은 대표적으로 목에 뭔가 걸려있는 듯한 느낌, 만성적인 헛기침(이물감을 제거하기 위해 만성적으로 기침을 하게 된다), 만성적인 원인 모를 쉰 목소리가 나기도 하며, 목이 아프고 쓰리고, 목이 답답하며, 음식을 삼킬 때 목이 불편하다. 위 식도역류질환처럼 속 쓰림이 나타날 수도 있으며, 목구멍이 타는 듯한 느낌, 목 안으로 쓴 물이 올라와 쓴 맛을 느낀다든지 할 수는 있지만 위 식도역류질환 환자처럼 흔하게 느끼지는 않는다.
치료는 식사를 조금씩 자주 해야 한다. 유아는 식후 30분은 바로 눕히지 않는다. 필요하면 약물치료를 하기도 한다.
성인의 경우 체중을 줄여야 하는 경우도 있으며, 담배 및 알콜은 피해야 한다. 초콜릿, 민트, 기름기 많은 음식, 탄산음료, 매운 음식, 토마토가 들어간 음식, 레드 와인, 카페인 등은 되도록 절제한다. 또한 잠자리에 들기 전 3시간 전에는 식사나 간식 먹기를 끝내도록 한다. 허리를 너무 조이는 복대나 코르셋 착용은 하지 않는다.
한편 껌을 씹으면 침 분비를 증가시켜 산을 중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인후두 역류질환은 위 식도가 발달중인 유아에게 많이 발생하는 증상이지만 성인에도 나타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