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2만여명 흐느낌 속 마지막 서울길

2009-05-29 (금) 12:00:00
크게 작게

▶ 봉하마을 발인제 표정

2만여명 흐느낌 속 마지막 서울길

노무현 전 대통령의 발인식이 엄수된 29일(한국시간) 새벽 형 건평씨(왼쪽부터), 손녀, 권양숙 여사, 딸 정연씨 등 가족들이 봉하마을 빈소를 나서고 있다.

주민·참여정부 인사들‘배웅’
애창곡‘상록수’ 울려 퍼져


눈물 속에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발인제가 치러진 경남 김해 봉하마을.

노 전 대통령이 태어나 자랐고 생의 마지막을 보낸 고향 봉하마을은 마지막 길을 떠나는 노 전 대통령을 차마 보내지 못하겠다는 듯 흐느꼈다.


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 마지막 날인 29일(이하 한국시간) 이른 아침 봉하마을의 주민들과 수많은 조문객들은 고향을 떠나 영결식 후 화장을 통해 한 줌의 재로 돌아올 노 전 대통령의 유해를 모신 운구차를 눈물로 배웅했다.

이날 발인식은 오전 5시(LA시간 28일 오후 1시)부터 봉하마을에서 유족과 친인척, 참여정부 인사들, 주민, 추모객 등 2만여명이 참석했다.

발인식은 육·해·공군 의장대 10명이 노 전 대통령의 유해가 안치된 관을 태극기로 감싸는 것으로 시작됐다. 이어 부인 권양숙 여사와 아들 건호씨 부부, 딸 정연씨 부부, 형 건평씨 등 유족들과 한명숙 장의위원장, 문재인·문희상 전 청와대 비서실장 등 장의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상주가 술과 음식을 올리고 절을 하는 견전(遣奠)과 축문 낭독, 유가족이 다시 절을 올리는 재배의 순으로 발인제가 10여분간 진행됐다.

발인제에 이어 노 전 대통령의 사위인 곽상언 변호사가 영정을 모시고 유족들이 뒤따르며 사저와 생가를 돌아봤다.

10여분가량 사저를 둘러본 뒤 노 전 대통령의 영정이 운구차로 향하자 아들 건호씨도 슬픔을 참지 못하고 손수건으로 흐르는 눈물을 훔치기도 했다. 봉하마을에서는 평소 노 전 대통령이 즐겨 불렀던 가수 양희은의 ‘상록수’가 울려 퍼졌다.

노 전 대통령의 영정과 무궁화 대훈장을 앞세운 노 전 대통령의 관이 봉하마을 바깥을 빠져 나와 운구차인 검정색 캐딜락에 실리자 조문객들 사이에서는 흐느낌과 오열이 터져 나왔다.

5시48분께 노 전 대통령의 영정이 노사모회관 앞에 있는 운구차에 도착하자 지지자들은 ‘님을 위한 행진곡’을 수차례 부르며 고인을 마지막으로 떠나보냈다.


국민장 기간 내내 봉하마을에 있었던 배우 명계남씨는 노 전 대통령과 이별이 못내 아쉬운 듯 마지막까지 운구차에서 손을 떼지 못했다.

국화꽃으로 장식된 캐딜락 운구차에 실린 노 전 대통령의 유해는 당초 예정보다 30분가량 늦은 오전 5시58분께 봉하마을을 떠나 영결식이 열리는 서울 경복궁으로 향했다.

운구행렬은 경찰 사이드카 5대와 선도차 뒤에 영정차, 운구차, 상주 및 유족대표 승용차, 장의위원장 및 집행위원장 승용차, 친족과 장의위원 대표단 버스 순으로 이동했으며 후미에는 구급차 2대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예비 영구차, 경찰 사이드카 2~3대가 뒤따르는 등 경건한 분위기 속에 국민장의 행렬이 이어졌다.

<봉하마을-김동희 특파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