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노무현 전대통령 국민장 엄수

2009-05-29 (금) 12:00:00
크게 작게

▶ ‘한줌 재 되어 영원한 고향으로’

노무현 전대통령 국민장 엄수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 영결식이 한국시간 29일 오전 11시 서울 경복궁 앞뜰에서 이명박 대통령 내외와 유족, 주요 인사 등 3,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엄수됐다. 참석자들이 모두 일어서서 고인을 추도하고 있다. <연합>

봉하마을 발인
영결식·노제
화장 후‘귀향’


노무현 전 대통령이 끝내 먼 길을 떠났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결식이 서거 7일만인 한국시간 29일 오전 11시(LA시간 28일 오후 7시) 서울 경복궁 앞뜰에서 시민들의 애도 속에 국민장으로 엄수됐다.


이날 새벽 경남 김해 봉하마을 빈소에서의 발인제로 시작, 경복궁 영결식과 서울광장 노제, 경기도 수원에서의 화장을 거쳐 다시 봉하마을 옆 사찰 정토원에 임시 안치되는 것으로 엄숙하게 치러졌다.

봉하마을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삶을 마감한 노 전 대통령의 생애처럼, 봉하마을에서 시작돼 서울, 수원을 거쳐 다시 봉하마을로 돌아온 장장 16여시간에 달하는 긴 여정이었다.

이날 오전 6시께 2만여명의 주민과 추모객들의 애도 속에 발인제를 갖고 서울로 향한 노 전 대통령 운구 행렬은 5시간여만에 영결식장인 경복궁 흥례문 앞뜰에 도착했다.

이날 전국 관공서에는 고인을 추모하기 위해 조기가 게양된 가운데 영결식은 이명박 대통령과 김대중·김영삼 전 대통령, 한승수 국무총리를 비롯한 정·관계 주요 인사, 주한 외교사절, 권양숙 여사와 노건호ㆍ정연씨를 포함한 유족 등 3,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엄숙하게 거행됐다.

영결식은 국민의례, 고인에 대한 묵념, 공동 장의위원장 한승수 국무총리와 한명숙 전 총리의 조사 낭독, 종교의식 순으로 이어졌고 유족들에 이어 이명박 대통령과 부인 김윤옥 여사가 노 전 대통령 영정 앞에 헌화하며 깊은 애도의 뜻을 표하고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영결식 후 운구 행렬은 시민의 애도 속에 세종로를 거쳐 서울광장까지 도보로 이동, 시민들이 고인의 마지막 가는 길을 추모하는 노제가 30여분간 엄숙한 분위기 속에 진행됐다.

이어 운구 행렬은 시민 1,000여명이 든 만장을 뒤로 한 채 서울을 출발, 수원 연화장에서 고인의 유언대로 화장 절차를 가진 뒤 유족들이 수습한 노 전 대통령의 유골이 유골함에 담겨 다시 고봉하마을로 옮겨져 봉화산 정토원 법당에 임시로 안치됐다.

<서울-김동희 특파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