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파견 전문위원 34명 등 총원 184명…5년전 대비 20% 감축
(서울=연합뉴스) 황재훈 기자 =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30일 부처 파견 공무원 등 후속 실무지원 인력 인선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정권 인수업무에 돌입했다.
인수위는 이날 조원동 재경부 차관보, 성용락 감사원 홍보관리실장, 이용준 전 북핵담당대사 등 부처에서 파견된 전문위원 34명을 포함, 총 184명의 인력으로 인수위 구성을 마쳤다.
이동관 대변인은 17대 위원회에서 일할 총원 184명의 인수위 구성을 마쳤다면서 이는 지난 16대 때에 비해 20% 감축된 숫자로, 당선자가 슬림화되고 효율성 있는 인수위를 지시한 데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부처에서 파견되는 전문위원은 각 부처에서 3배수를 추천 받아 전문성과 창조적 미래지향적 사고, 개혁성 등 3가지 기준으로 선정했다면서 내일 오후 4시 임명장 수여식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수위는 인력 구성이 완료됨에 따라 빠르면 내달 2일부터 하루에 2∼3개 부처에 대한 본격적인 업무 보고를 받는다는 방침 아래 구체적인 일정 조율에 나섰다.
이 대변인은 새해 초부터 바로 부처 업무보고를 받기 시작할 것이라면서 31일 중 최종 일정이 확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수위는 내달 중순까지 부처 업무보고를 모두 마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인수위는 지난 5년간의 주요 정책 평가, 이 당선자 주요공약 실천 계획, 규제개혁 및 완화방안, 예산 10% 절감방안 등 7개 항목의 업무보고 작성 지침을 전달해 놓은 상태이다.
이에 앞서 인수위는 전날 첫 인수위원 토론회에서 새 정부 명칭과 관련, 별도의 이름을 붙이지 않고 `이명박 정부’로 하기로 사실상 의견을 모았다.
이 대변인은 실용정부로 하자는 의견과 국민공모를 하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대부분의 토론자들이 정부 앞에 대통령의 이름을 붙여 쓰는 것이 글로벌 스탠더드라는 의견에 공감했다면서 특히 `이명박 브랜드’ 자체가 이미 국민에게 경제살리기 등의 이미지로 각인된 만큼 파워풀하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전했다.
전날 토론회에서 박형준 의원은 `이명박 정부의 국정철학 기조’ 발제를 통해 이명박 정부의 의의는 건국과 산업화, 민주화의 에너지를 발전적으로 계승, 대한민국을 세계 일류국가로 만드는 선진화의 출발점이라면서 이것이 1987년 체제의 틀을 뛰어넘어 2008년 신발전체제를 구축해야 하는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이 대변인은 선진화를 위한 신발전 체제는 경제와 삶의 질의 선진화, 국가주도형 발전에서 민간주도형 발전으로의 모델 전환, 성장의 혜택이 중산층과 서민에게 돌아가는 체제 등이 골자라고 전했다.
jh@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