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기름제거 손으로 하는 게 최선”

2007-12-15 (토) 12:00:00
크게 작게

▶ 전문가들 지적 “최소 2~3개월 걸릴 듯”

충남 태안 앞바다 기름 유출사고로 오염된 해안에 대한 복구 작업에 최소 2∼3개월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름을 제거하는 최고의 방법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5일(한국시간) 중앙사고수습본부와 관련 전문가들에 따르면 오염된 해안가에서 기름을 제거하는 방법은 손으로 기름 흡착재나 헌옷 등을 이용해 바위나 자갈을 닦는 것 외에 대안이 없다.
이번 사고로 오염된 해안에서 기름을 닦는 데에는 최소 2∼3개월이 걸릴 전망이다.
5,035톤의 기름이 해상으로 유출됐던 1995년 시프린스호 사고 때 오염된 해안에서 기름을 닦아내는 데 걸린 시간은 5개월이었다.
시프린스호 사고 당시의 2배나 되는 1만500톤의 기름이 해상으로 유출된 이번 사고 후 1주일 만에 해상방제와 육상방제를 통해 회수된 기름은 14일 오전 현재 폐유 1,284t, 폐기물은 7,918t이다. 시프린스호 사고 당시 5개월 간 회수한 폐유양과 비슷하다.
이는 당시보다 향상된 방제능력과 오염 해안이 40km로 당시 73km보다 짧기 때문이다.
한국해양연구원 이문진 박사는 “시프린스호 사고 때보다 방제 능력이 향상됐고 오염 해안이 짧다”며 “그러나 해안에서 기름을 어느 정도 깨끗이 닦아내는 데 최소 2∼3개월이 걸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모래해안에 대한 방제작업은 기름 흡착재를 이용해 진행됐지만, 앞으로 방제작업이 주로 진행될 자갈해안이나 암석해안의 경우 기름 흡착포나 헌옷을 이용해 손으로 닦아내는 방법 외에는 뾰족한 대안이 없다는 게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손으로 닦아내는 방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인력이 많이 필요하기도 하지만 가장 친환경적이다. 중앙사고수습본부 관계자는 “기본적으로는 잔자갈이나 왕자갈 등 자갈해안 같은 경우는 인력을 최대한 동원해 일일이 자갈을 손으로 닦아내는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한국해양연구원 이 박사도 “기름유출사고로 인한 방제에 시간이 많이 드는 이유는 수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