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건강칼럼/ 소아난치병

2007-10-22 (월) 12:00:00
크게 작게
평강체질 한의원 최병희 한의사

소아뇌성마비, 소아천식, 소아재생불량성빈혈, 소아백혈병, 소아백혈구감소증, 소아혈소판감소증 등의 소아난치병등은 왜 생기는가?

소아난치병은 생후 바로 나타나는 것도 있고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나서 나타나는 것도 있다. 이러한 병의 원인에 대해 여러 가지로 생각할 수 있으나 체질적으로는 부모가 같은 체질일 때 그 자식에게 나타날 수 있다.


체질적으로 본 소아난치병의 원인
각 체질에는 체질적인 특색이 있다. 예를 들면 금양체질은 선천적으로 간과 신장 기능이 약하고 폐와 췌장기능이 왕성하다. 그러한 두 남녀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는 체질 유전적으로 다른 체질은 나올 수가 없고 금양체질만 나오는데, 체질적인 특징 즉 장기간의 기능차이를 그 부모보다 훨씬 강하게 타고 난다.

이러한 강한 체질적인 특징은 소아불치병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금양체질의 경우 대개 골수성 백혈병이나 백혈구 감소증, 또는 재생불량성 빈혈로 나타난다. 부모가 양쪽 다 금음체질인 경우는 하지를 못 쓰는 근무력증의 아이가 생겨날 수 있고, 목양체질의 경우는 뇌성마비 혹은 지체부자유자가 되기 쉬우며, 수음체질의 경우는 선천적 뇌수종 또는 임파구성 백혈병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소아난치병에 대해 의학계는 많은 연구를 해왔지만 결과적으로 체질적인 원인을 생각하지 못 하고 대증치료에서 맴돌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다시 말해서 모든 질병에는 원인이 있으므로 그것을 없애는 것이 근본적인 치료일 것이나, 소아불치병의 경우는 체질이 같은 부모의 체질적 특성이 자녀에게 지나치게 강하게 나타나는 것이 병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장기의 불균형을 적불균형으로 인한 소아난치병
소아난치병은 출생 후 아이의 소행이나 섭생부주의에서 온 것이 아니며, 다른 어떤 것에서 전염되거나 피해를 입어 된 것도 아니다. 다만 그 아이 안에 부모에게서 받은 장기들의 과불균형이 만든 질환인 것이다.

물론 체질을 형성하는 것은 인간의 장기간의 불균형 때문이며, 타고난 불균형은 각 체질의 개성과 성품과 사고와 적성을 다르게 할 뿐 질병과는 무관한 적불균형으로 타고 난다. 그대로 섭생을 잘하고 행동에 주의하므로 그 적불균형이 잘 유지되는 한 건강한 생활을 보낼 수 있다.그러나 출생 이후 생활과 섭생이 체질에 맞지 않게 될 때 그 장기의 적불균형은 과불균형으로 변하여 질병의 원인이 된다. 다시 말해서 일반적인 모든 질병은 후천적으로 본인의 잘못에 그 원인과 책임이 있는데 반하여, 소아난치병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장기들의 과불균형이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소아질환을 치료함에 있어서는 그 관점을 달리해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재생불량성 빈혈의 경우, 천번 만번 수혈을 해도 병의 원인을 없앨 수는 없는 것이며, 수혈이 끝나는 날 그 생명도 끝나는 것이다. 그러나 체질적인 과불균형을 다시 적불균형으로 환원시킬 수만 있다면 멈췄던 몸 안의 조혈공장은 가동되기 시작하며 그 무서운 불치병도 재생불량에서 재생양호로 바뀌는 것이다.

같은 체질의 부부 사이에서 난 아이는 건강하든지 선천성 난치병을 가졌든지 그 부모와 분리시켜서 재우고, 분리시켜서 먹여야 하며 부모가 먹던 수저로 아이의 음식을 떠먹이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될 수 있는 대로 부모는 아이를 안아주지 않는 것이 좋고, 뽀뽀도 안 하는 것이 좋다. 부모의 침이 아이의 입에 닿는 것과 부모의 채취와 비듬이 아이의 코로 들어가는 것도 아이의 장기 불균형을 심화시켜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이나 소아난치병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