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10.4 남북정상선언 - 개성공단 가속

2007-10-05 (금) 12:00:00
크게 작게
‘3통 문제’ 해소 경쟁력 업그레이드

남북 경협의 대표적 성공사례로 꼽혀온 개성공단 사업에 한층 가속도가 붙게 됐다.
남북 정상이 그 동안 시험운행에만 그쳤던 경의선 문산-개성(27.3㎞) 간 화물철도를 개통, 개성공단의 화물을 실어 나를 수 있도록 합의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른 시일 내 개성공단 2단계 사업에 착수하고, 통행 통관 통신 등 3통 문제를 해소하자는 데도 뜻을 함께 했다.
개성공단 사업은 현재 세 차례 분양을 통해 입주가 결정된 업체는 220개이지만, 이 중 26개 업체만 입주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그나마 입주 업체들조차 3통 문제 등으로 적지 않은 불만을 토로해온 게 현실이다.
실제 “공장을 24시간 돌려야 하는데 오전 8시 출근(군사분계선 통과), 오후 5시 퇴근해서야 되겠나” “팩스나 유선전화뿐 아니라 휴대폰과 인터넷도 쓸 수 있도록 허용하고, 3일 전 미리 신고해야 하는 화물통관 절차도 간소화해야 한다” 라는 지적이 잇따랐다.
하지만 이번 정상회담 합의로 3통 문제가 해소되면, 지리적으로 가깝고 인건비가 저렴한 개성공단의 경쟁력과 매력이 한 단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평양 인근 서해안의 남포와 함경남도 동해안의 안변에 조선협력단지를 건설키로 한 것도 주목된다. 경공업 분야에 국한됐던 남북 경협을 중공업 분야로 업그레이드시키는 아이템이기 때문이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