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10.4 남북정상선언 - 종전선언 추진 의미

2007-10-05 (금) 12:00:00
크게 작게
김 위원장 반대 안해
북핵 해결이 시금석

“3~4국 참여, 평화체제로 전환”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한반도 종전선언’ 추진 합의는 정전체제를 항구적인 평화체제로 전환하기 위해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 정상들이 한반도지역에서 종전선언을 채택하는 문제를 추진하는데 협력키로 한다는 것이다.


HSPACE=5

<남북정상회담 마지막 날인 4일 오후(한국시간) 평양 백화원 초대소에서 환송 오찬을 마친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작별인사를 나누고 있다.>

이는 당사국들의 의지에 따라 한반도 주변의 안보구조에 지각변동을 가져올 수도 있는 문제다. 한반도 종전선언 방안은 남북이 주도하는 가운데 관련 당사국인 미국과 중국 등과의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노 대통령은 정상회담 일정을 마치고 경의선 출입관리사무소(CIQ)에서 밝힌 대국민 보고를 통해 작년 11월18일 및 지난 9월7일 열린 한미정상회담에서 조지 부시 대통령이 제안한 종전선언 방안을 김 위원장에게 설명했다고 말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는데 대해 기본적으로 동의한다고 밝히고 한미 간에 논의한 바 있는 종전선언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관심을 표명했다고 노 대통령은 전했다. 특히 김 위원장은 “이것을 성사시키도록 남측이 한 번 노력을 해보라”고 주문했다고 노 대통령은 덧붙였다.
이는 결국 부시 대통령이 지난 해와 올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두차례 언급한 `비핵화 전제 종전선언’ 구상에 대해 김 위원장도 반대하지 않고 있으며 더 나아가 관심을 갖고 있음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한반도 정전협정을 대체할 평화협정이 체결되기 위해서는 한국전쟁 종전선언이 선행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또 북핵 폐기와 북미 및 북일 수교 문제도 종전선언과 연계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