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포자기 선택’ `비호세력 설득’ `말맞추기 끝냈다’ 각종 추측
(서울=연합뉴스) 강건택 박인영 기자 = 두달 간 미국 뉴욕에서 도피생활을 하던 신정아 전 동국대 교수가 16일 오후 전격 귀국을 결심한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학력 위조 및 비호 의혹으로 한국 사회를 떠들썩하게 만든 ‘변양균-신정아 파문’의 두 당사자가 16일 서울서부지검에 차례로 출두했다. 변 전 청와대 정책실장은 이날 오전 변호사를 동행하지 않고 혈혈단신으로 검찰에 나왔고(왼쪽), 신씨는 오후 5시30분께 도쿄발 항공기편으로 인천공항에 들어온 뒤 곧바로 검찰 직원들에 의해 검찰 청사로 연행됐다. 홍인기기자 hongik@hk.co.kr 조영호기자 voldo@hk.co.kr
더욱이 전격 귀국해 검찰 조사를 받게된 시점이 변양균 전 청와대 정책실장의 검찰 소환과 동시에 이뤄진 점은 우연이라고 보기 어려워 `비호세력의 설득’ `신정아ㆍ변양균의 사전조율’ 등 여러가지 추측을 낳고 있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설명은 신씨가 자신을 둘러싼 각종 의혹의 확산으로 더 이상 숨길 것도, 잃을 것도 없는 처지에 이르러 `자포자기’의 심정으로 귀국과 함께 검찰 소환에 응하기로 한 것이 아니냐는 추론이다.
신씨가 몰래 출국한 7월 중순까지만 해도 학력위조 의혹만 가라앉으면 자신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사그라들 것으로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었지만 이제는 변양균 전 청와대 정책실장 등 권력층 비호 의혹과 사생활에 대한 소문까지 나돌면서 가만히 잊혀지기만을 바랄 수 없는 입장이 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신씨는 최근 시사 주간지 `시사IN’과의 인터뷰에서 귀국에 대한 결심을 밝히며 잘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벌을 받아야겠지요. 제가 더 이상 잃을 게 뭐가 있겠어요. 이미 끝난 사람인데요라며 이 같은 심경을 보이기도 했다.
모든 게 밝혀졌기 때문이 아니라 사태가 더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한 `진화 차원’에서 귀국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동국대 교수 추천 등 변 전 실장의 외압 정황이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지만 변 전 실장 외에 `신정아 사태’의 외압 몸통이 더 있다는 소문이 끊이지 않고 있기 때문.
만약 실제로 변 전 실장 이외의 비호 세력이 존재한다면 그의 존재를 숨겨주기 위해 자발적으로 또는 그 비호 세력의 지시에 의해 신씨가 직접 돌아와 변 전 실장의 선에서 사태를 마무리지으려 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이런 추측의 연장선상에서 정치권이 신정아 사태가 연말 대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판단에서 더 이상의 의혹 차단을 위해 신씨의 조기 귀국을 설득했다는 주장도 나온다.
신씨의 귀국일이 변 전 실장의 소환과 맞아떨어졌다는 점에서 양측이 검찰 조사에 대비한 사전 조율을 모두 끝냈기 때문에 자신있게 한국에 돌아올 수 있었다는 해석도 있다.
신씨의 변호인과 변 전 실장의 변호인이 같은 건물에서 나란히 사무실을 내고 있다는 사실이 이와 같은 추론에 힘을 실어준다.
또 스스로 `부자’라며 경제적 여유를 자랑했던 신씨지만 실제로는 개인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채무자 상태였다는 점에서 많은 비용이 드는 뉴욕 생활을 더 이상 감당할 수 없어 어쩔 수 없이 귀국했을 것이라는 가정도 설득력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firstcircle@yna.co.kr
mong0716@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