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협상 재개 1시간 반만에 완전 타결

2007-08-29 (수) 12:00:00
크게 작게
긴박했던 막판 나흘

25일 “석방 합의” 한줄기 외신에 기대감
정부 물밑 외교 노력 박차… 마침내 결실

사흘 전 타전된 한줄기 외신 보도가 결국 사실로 드러났다.
25일 “사우디아라비아의 중재로 탈레반이 한국인 인질 19명을 모두 석방하기로 결정했다”는 아프간 이슬라믹 프레스(AIP)의 낭보가 전해진 후, 희망적 보도와 이를 부인하는 실망스런 보도가 번갈아 나오며 국민들을 혼란스럽게 했다.
그러나 28일 열린 탈레반과 한국 정부가 가진 마지막 대면협상에서 19명의 인질을 모두 석방키로 최종 합의하면서 초조함과 불안은 환희와 안도로 바뀌었다.


HSPACE=5


25일 오후 6시께(한국시간) 현지 통신사인 AIP가 긴급 타전한 소식은 13일 김경자ㆍ김지나씨가 석방된 이후 2주일 가까이 지지부진하던 협상 국면을 깨는 낭보였다. 때마침 송민순 외교부 장관이 사우디를 방문, 26일 압둘라 국왕을 예방키로 한 상황이어서 ‘사우디 중재론’이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졌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성남시 분당 가족모임 사무실에 모인 피랍자 가족들도 “그동안 외신들의 오보가 많았지만 이번만은 믿고 싶다”고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그러나 한 시간쯤 뒤 정부가 “접촉은 있지만 공식 합의된 내용은 없다”고 밝힌 데 이어 탈레반측도 합의 사실을 부인하면서 기대감은 또 다시 실망으로 급변했다.
당사자의 부인으로 기대감은 한풀 꺾이긴 했지만 희망적 보도는 계속됐다. 26일 아사히신문은 탈레반이 1인당 10만달러씩 몸값을 요구했다고 보도했고, 27일에는 미국 CBS 방송이 탈레반 고위간부의 말을 인용해 “28일 양측이 대면협상을 재개한 후 인질 가운데 여성 3, 4명이 우선 석방될 것”이며 “나머지 인질들도 소그룹으로 나뉘어 차례로 석방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한국 정부는 25일 협상 타결설이 흘러나온 후에도 성급한 기대를 부풀리지 않고 막판 협상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이와 관련한 언급을 최대한 자제하고, 한편으로는 이슬람 국가 정상들에게 잇따라 대통령 친서를 전달하는 등 막판 외교에 사력을 기울였다.
28일은 벽두부터 희망적 소식이 전해졌다. 한국 정부와 탈레반이 대면협상을 재개한다고 AIP가 보도한 것이다. 대면협상 재개는 양측간에 어느 정도 합의가 이루어졌고 최종 승인만 남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어 피랍자 가족들과 국민들이 기대를 걸 수 있었다.
하루 종일 별다른 보도가 나오지 않다가 오후 6시께 대면협상이 실제로 재개됐다는 보도가 나왔고, 오후 8시10분께 AFP와 알자지라 방송이 19명 인질을 모두 석방키로 합의했다는 보도를 내보냈다. 곧 이어 청와대 발표로 합의 사실이 확인되자, 경기도 분당 대책위 사무실에 모여 있던 피랍자 가족들은 41일 동안 흘려왔던 고통의 눈물 대신 처음으로 기쁨의 눈물을 흘렸다.

<최진주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