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건강칼럼] 치아.턱 교정

2004-05-17 (월) 12:00:00
크게 작게
데이지 송 <치과전문의 >

비뚤어진 치아와 턱을 교정 안 하면 어떻게 됩니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경우에 따라 다르다고 설명을 드릴 수 있습니다. 상악과 하악 치열이 잘 맞물리는데 정도가 아주 조금 비뚤어진 경우에는 교정을 안 해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확률이 높지만 그래도 치아가 겹친 부분은 양치질은 물론 치과에서 scaling을 해도 그 부분을 깨끗이 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항상 다른 부위보다는 잇몸 질환이나 충치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상악, 하악의 부정 교합이 있는 경우에는 문제가 다릅니다. 치아의 불균형은 물론이고, 치아가 안 보이게 입을 다 물고 있어도 얼굴 모습이 부자연스럽고 미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어딘지 모르게 균형이 없는 것을 교정의사가 아닌 일반인도 느끼게 됩니다.

부정교합은 선천적으로 뻐드렁니가 되거나 주걱턱이 되는 경우도있지만, 대부분은 후천적 으로 생기는데 아기때의 손가락 빠는 습관이 지속되거나 덧니 또는 사고로 그럴 수 있습니다.

또한 부정교합은 모든 구강질환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심리적, 신체적 건강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얼굴이 비뚤어진 것처럼 보이게 되면 남 앞에 서기를 꺼리게 되므로 웃을 때와 말을 할 때 손으로 가리는 등 심리적 위축감이 생겨서 성격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나 미국에서는 어린이들이 정확한 발음을 하지 못하면 학교에서 speech therapist 에게 도움을 받도록 권장하고, 대부분의 speech therapist 들은 부정 교합에서 오는 문제가 발생되는 즉시 치아 교정 전문의사와의 상담, 및 치료를 권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정 교합은 사회성을 기르는데, 장애가 되고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인식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성장기의 자녀들을 가진 부모님은 자녀들이 학교 생활을 원만하게 잘 적응하고 있는지 혹은 친구들에게 놀림을 당하는 경우가 있는지 학교의 담당 선생님과 의논함은 물론 발표력이 부족하거나 아니면 다양하게 친구 사귀는 것을 두려워하는지를 관찰 해 보시고 혹시라도 자녀가 본인의 외적인 모습에 자신감이 없거나, 주위로부터 말하는 게 이상하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그런 경우에는 교정 전문의 상담을 받아 보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문의 718-225-0919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