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 이음한의원에 체험관 오픈$ 월~토 이용 가능 ▶ “잠자는 동안 독소와 체지방 배출$ 에너지는 충전”요즘 가정의 필수 아이템은 단연 건강 제품이다. 온라인 마켓에서 마…
[2021-10-27]크리스티나 김(사진)재미부동산협회(회장 폴 김) 크리스티나 김(사진) 부회장이 한인 최초로 ‘라이보’(Long Island Board of Realtors 이하 LIBOR) ‘디…
[2021-10-27]한인은행들의 예금이 대출보다 더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돈 가뭄’ 현상이 한층 해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일원에서 영업중인 11개 한인은행이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에 보고한…
[2021-10-27]서울메디칼그룹(SMG 회장 차민영)이 ‘2021년 메디케어 보험 연례 가입기간(AEP)’을 맞아 주류사회 건강보험사 및 한인보험 에이전트 초청 킥오프 행사를 지난 21일과 22일…
[2021-10-26]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원 G-CEO 뉴욕총원우회(회장 이현탁)가 지역 사회에 한발 더 다가선다. ‘함께하며 나누는 총원우회’를 슬로건으로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원우회를 표…
[2021-10-26]뉴욕주와 뉴욕시에는 법원들이 많다.그렇다면 교통사고 피해에 대한 소송은 어느 법원에 소장을 접수시켜야 될까?뉴욕주 법원 시스템은 크게 민사(Civil)와 형사(Criminal)로…
[2021-10-22]지난달 개강한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술전문경영대학원의‘인공지능(AI) 경영자’ 과정이 큰 호응 속에 진행 되고 있다.‘KAIST 인공지능 경영자과정’ 미주지역 등록을 총괄…
[2021-10-22]▶ 무선 라우터로 상가내 인터넷 없어도 이용 가능한인이 운영하는 카드프로세싱업체 ‘코암 머천트 서비스’(KOAM Merchant Service · 대표 류제봉)가 팬데믹 가운데 …
[2021-10-22]폐암은 한국에서 4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지만, 암 사망률 1위 암이다. 폐암은 90% 이상이 흡연에서 직접적인 요인을 찾을 수 있을 만큼 담배가 가장 큰 요인이다. 폐암은 크…
[2021-10-21]‘제19차 세계한상대회’가 19일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월드에서 개막했다. 지난해 대회가 팬데믹으로 중단된 이후 2년만이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4차 산업혁명과 그린뉴딜’을 …
[2021-10-21]충청북도의 우수 농식품들을 미 주류사회에 소개하는 특별 판촉전이 21~24일 브루클린 소재 BTS 푸드 마켓(512 Nostrand Ave. Brooklyn. NY)에서 열린다.…
[2021-10-20]제가 지금까지 사고상해 케이스에 관련되어서 낸 글들을 읽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제가 교통사고를 당하신 분들에게 늘 강조하는 것중에 하나가 사고가 나면 꼭 경찰을 부르셔서 경찰 …
[2021-10-20]재미부동산협회(회장 폴 김)는 19일, 부동산 가을축제의 마지막 행사로 전진수 변호사 초청 부동산 웹 세미나를 실시했다. 전 변호사는 이날 ‘시니어에 필요한 부동산 전략’을 주제…
[2021-10-20]#퀸즈에 거주하는 한인 김모씨는 요즘 장보기가 무섭다. 80달러 정도였던 1주일치 식료품 구입비용이 최근 들어 120달러를 넘어섰기 때문. 김씨는 “평소와 다름없이 야채와 과일,…
[2021-10-20]▶ 골프존 베이 완비 미주 최대 규모 골프 시뮬레이터 센터 ▶ 탁구공 자동으로 쏴주는 7개 개인연습 공간 구비 ▶ ‘풀 주방’^‘바’ 갖춘 다양한 파티 공간 대여실내에서 스크…
[2021-10-19]지역사회를 위한 공익사업과 한인 2세를 위한 장학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C Land 부동산’(대표 스티븐 리)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미사법연단(US Law Enforcemen…
[2021-10-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으로 한인은행들의 고액 예금계좌 규모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인 예금유치 경쟁으로 최근 수년간 지속적 증가세를 보였던 …
[2021-10-19]‘부동산 가을축제’을 진행하고 있는 재미부동산협회(회장 폴 김)가 15일, 네번째 부동산 웹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강사로 초빙된 허드슨 원 타이틀 에이전시의 다니엘 리 대표는…
[2021-10-18]팬데믹에 따른 해운 물류 대란으로 국제 교역이 위축되고 있는 상황에도 ‘K인삼’과 ‘K김치’의 대미 수출길에는 거침이 없다. 한류 확산으로 한국산 인삼과 김치에 대한 미 소비자들…
[2021-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