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도 내년 1월까지 감염 차단 못하면 청정국 박탈

캐나다 앨버타주의 건강센터에 세워져 있는 홍역 유행 관련 포스터.[로이터]
캐나다가 12개월 연속으로 홍역 바이러스 유행을 억제하지 못해 홍역 퇴치 국가 지위를 상실했다.
10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이날 세계보건기구(WHO) 미주 본부인 범미보건기구(PAHO)는 30년간 '홍역 청정국'이었던 캐나다가 청정국 지위를 잃었다고 발표했다.
캐나다에서는 작년 10월부터 홍역이 유행했다. 올해 5천명 이상의 환자가 보고됐고, 대부분은 온타리오주, 앨버타주에서 발생했다.
환자 대부분은 백신 접종률이 떨어지는 지역에서 나왔다.
캐나다에서 4번째로 큰 도시인 캘거리를 포함하는 앨버타주 남부 지역은 작년 기준으로 2세 미만 아동의 홍역 예방 접종률이 68%에 불과하다.
캐나다인 면역학자인 던 보디쉬는 의사를 자주 볼 수 없는 환경, 자신의 예방접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국가 시스템의 부재, 허위정보 확산 등을 예방 접종률 하락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청정국 지위는 현재 유행 중인 홍역 바이러스의 확산을 최소 12개월간 억제할 때 회복된다.
캐나다와 국경을 접한 미국도 조만간 홍역 청정국 지위를 잃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에서는 유타주와 애리조나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를 중심으로 올해 1천681명의 환자가 보고됐다. 내년 1월까지 전염을 막지 못하면 퇴치 국가 지위를 상실한다.
미주 대륙은 2016년에 세계 최초로 홍역 청정지역으로 선포된 바 있다.
이후 남미 베네수엘라와 브라질에서 홍역이 발생했으나, 두 나라는 작년에 수백만 명이 백신 접종을 받으면서 다시 홍역 퇴치 지위를 회복했다.
하지만 이후 홍역은 북미로 확산했고, 캐나다와 미국 외에도 멕시코에서도 환자가 급증세다.
홍역은 공기로 전파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호흡기 감염병이며, 주된 증상으로는 발열, 발진, 기침, 콧물, 결막염 등이 있다.
면역이 없는 사람이 홍역 환자와 접촉하면 90% 이상 감염될 수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