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SJ 보도…30일 트럼프-시진핑 부산 회담서 최종 결론
미국과 중국이 30일(현지시간) 부산에서 열릴 양자 정상회담 계기에 '무역전쟁' 확전 자제에 뜻을 모을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미국의 대중국 관세 10%포인트(P) 인하와, 중국의 미국산 대두(콩) 수입 재개에 양측이 합의할 것으로 보인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이 미중 협상에 정통한 인사들을 취재해 보도한 양측간 협상안에 따르면 미국은 중국이 합성마약의 일종인 펜타닐 원료 밀수출 단속을 강화한다면 펜타닐 밀수 단속 협조 부족을 이유로 중국에 부과한 20%의 관세를 10%로 낮춘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이 경우 현재 평균 55%에 이르는 미국의 대중국 관세가 45% 수준으로 내려감으로써 중국의 미국시장 접근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 중국은 현재 사실상 수입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진 미국산 대두의 상당량 구매를 약속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WSJ은 소개했다.
결국 WSJ 보도에 따르면 미국의 대중국 관세율 10%P 인하와,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 재개를 서로 맞바꾸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형국이다.
30일 미중정상회담을 통해 중국은 12월 1일부터 시행키로 한 희토류 수출 통제를 유예하고, 미국은 내달 1일부터 시행키로 했던 100%의 대중국 추가관세 부과를 보류할 것이라는 게 최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등의 설명이었다.
WSJ의 보도는 양국이 미국의 대중국 관세 동결을 넘어선 '인하'와, 중국의 미국산 대두 구입 등까지 넣어 '판'을 키우고 있음을 짐작케 한다.
WSJ은 또 양국이 상대국에 서로 부과하고 있는 선박 입항 수수료를 인하하는 방안도 미중합의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아울러 중국 측은 미국이 대중국 소프트웨어 수출 관련 통제를 포함해 중국에 타격을 주는 조치들을 동결하길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WSJ은 다만 미중간 협상 내용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이 같은 양국의 합의가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