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뉴욕증시, 美·中 정상회담 불발 경계심…혼조 마감

2025-10-21 (화) 02:14:23
크게 작게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주 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 많은 것을 논의할 예정이라면서도 회담이 성사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부연하자 경계감이 우위를 점했다.

21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18.16포인트(0.47%) 오른 46,924.74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0.22포인트(0.00%) 오른 6,735.35, 나스닥종합지수는 36.88포인트(0.16%) 밀린 22,953.67에 장을 마쳤다.

다우 지수는 장 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종가 기준으로도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반면 기술주는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였다.

애플은 이날도 오르며 시총 4조달러를 향해 달려갔다. 강보합에 그쳐 4조달러 돌파는 미뤄야 했지만 아이폰 17에 대한 기대감은 유지됐다. 애플의 시총은 3조9천억달러를 기록했다.

오픈AI의 등장 이후 증시를 휩쓸었던 인공지능(AI) 테마에서 소외된 애플은 한동안 숨죽이는 흐름을 보여왔다. 하지만 AI 거품론이 확산되면서 애플의 '손에 잡히는 탄탄한 실적'이 부각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애플이 시총 4조달러를 넘어서면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사상 세 번째가 된다. 뉴욕증시의 시총 4위 기업인 알파벳은 2조9천억달러, 5위 기업인 아마존은 시총이 2조3천억달러 수준이라 4조달러와는 아직 거리가 상당하다.

다만 오후 들어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하락세로 돌아섰다. 트럼프가 중국과의 정상회담이 불발될 수 있다고 밝힌 여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에 대해 "나는 2주 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날 예정이고 우리는 한국에서 만나 많은 것을 이야기할 것"이라면서도 "어쩌면 (회담이) 성사되지 않을 수도 있고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기술주가 특히 큰 낙폭을 보였다. 최근 강세를 보이던 알파벳은 장 중 4% 넘게 밀리다 2%대로 낙폭을 줄였다. 엔비디아와 브로드컴, 테슬라도 1% 안팎으로 떨어졌다.

장 마감 후 발표된 넷플릭스의 3분기 실적은 시장 예상치에 미달하며 실망감을 줬다.

넷플릭스는 3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5.87달러, 매출은 115억1천만달러라고 발표했다. EPS는 금융정보업체 LSEG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다.

넷플릭스는 브라질 세무 당국과의 분쟁 비용으로 영업이익률이 가이던스(31.5%)보다 낮은 28%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넷플릭스의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5% 넘게 떨어지고 있다.

업종별로는 임의소비재와 산업, 의료건강이 올랐다. 임의소비재는 1% 이상 뛰었다.

아마존은 클라우드 서비스 부문 AWS가 전날 대규모로 '먹통' 사태를 겪은 이후 이날 주가가 오히려 2.56% 올랐다. 먹통 사태는 예상보다 많은 기업이 아마존의 AWS에 의존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코카콜라는 3분기 실적이 예상을 웃돌면서 주가가 4% 뛰었다.

제너럴모터스(GM)는 3분기에 '깜짝 실적'을 기록했다는 소식으로 주가가 15% 급등했다.

방산업체 RTX는 항공우주 및 방위 분야에서 향상된 실적 전망치를 내놓은 뒤 주가가 7% 넘게 상승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12월까지 기준금리가 50bp 인하될 확률은 98.7%로 반영됐다. 75bp 인하될 확률은 0.2%까지 쪼그라들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0.36포인트(1.97%) 밀린 17.87을 기록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