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P, 위성사진 분석…美 폭격 이후 지하시설 터널 보강·굴착 지속
이란이 지난 6월 미군의 폭격으로 피해를 입은 나탄즈 핵시설 인근에 '정체불명의 지하시설'을 만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상업용 위성 사진을 분석해 26일 보도했다.
이 지하시설은 나탄즈 핵시설에서 남쪽으로 1마일(1.6㎞) 거리에 있는 자그로스 산맥의 깊숙한 곳, 일명 '곡괭이 산'으로 불리는 지역에 있다. 위성 사진에 나타난 외견상 산비탈의 동쪽과 서쪽에 지하시설로 들어가는 터널 입구가 있다.
이 지하시설의 목적은 아직 불분명하다. 이란은 당초 2020년 이 시설에 우라늄 농축에 필요한 원심분리기를 조립하는 공장을 짓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란은 올해 초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이 시설에 대해 문의했을 때 답변을 거부했다.
지난해 말 착공된 이 시설은 특히 미군의 폭격 직후인 6월 말부터 보안벽이 설치되고 도로가 정비되고 있다. 또 흙과 바위로 덮인 콘크리트 골조, 주변에 늘어난 폐석 더미 등으로 미뤄 터널 보강공사와 굴착공사를 추측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 사라 부르카르트 연구원은 "터널 입구를 덮는 이유는 공습 대비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입구를 붕괴시키기가 더 어렵게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조셉 로저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핵문제 프로젝트 부소장은 "덤프트럭, 트레일러 등 중장비들의 존재는 지하시설의 지속적인 건설과 확장을 나타낸다"고 말했다.
시설의 깊이가 260∼330피트(약 80∼100m)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도 있는데, 이는 미군이 '벙커버스터'로 공략했던 포르도 지하 핵시설(최대 80∼90m)과 비슷하거나 더 깊다.
이처럼 지하 깊은 곳으로 시설을 확장·보강하는 점으로 미뤄 은밀한 우라늄 농축 시설, 또는 무기급에 가까운 우라늄 비축분을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한 장소일 수 있다고 WP는 전문가들을 인용해 분석했다.
지난 6월 미군의 폭격으로 포르도와 나탄즈의 우라늄 농축 시설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이스파한의 핵시설도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폭격으로 이란의 핵 개발 시설이 "완전히 파괴됐다"고 주장했고, 이란이 폭격에 대비해 무기화 직전 단계인 60% 농축 우라늄을 미리 다른 곳으로 옮겼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이 같은 움직임만으로 이란이 당장 핵 개발을 재개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이란은 여전히, 만약 그들이 결정을 내린다면 꽤 빨리 재건할 능력을 갖고 있다"고 켈시 대번포트 군비통제협회 비확산정책국장은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