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금 선물, 연준 금리인하 기대에 최고치…은값도 14년만에 최고

2025-09-01 (월) 02:01:45
크게 작게

▶ 금 선물 뉴욕서 온스당 3천500달러대…은값은 온스당 40달러 돌파

▶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에 ‘연준 흔들기’ 지속…안전자산 선호 심리 자극

미국 관세정책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기대가 커지면서 1일 금 선물 가격이 4개월여 만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은 선물 가격도 크게 오르며 1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날 뉴욕선물거래소에서 금 선물 근월물 가격은 동부시간 오후 3시 54분께 온스당 3천546.1달러로, 전 거래일 대비 0.85% 올랐다.


금 선물 가격은 이날 동부시간 새벽 3시께 온스당 3천557.1달러까지 고점을 높이기도 했다. 이는 지난 4월 22일 이후 4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준이 오는 16∼17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기대감이 확산하면서 금값 랠리에 동력을 제공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9월 FOMC에서 연준이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확률을 89.6%로 반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금 가격은 미국의 실질금리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금리 움직임과 별개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연이은 금리 인하 압박과 연준 이사진 흔들기로 중앙은행 독립성 침해 우려가 커진 것도 안전자산인 금으로 투자자들이 몰리게 하는 요인이 됐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이날 연준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간섭에 대해 "미국 경제의 안정성, 결과적으로 세계 최대 경제국인 미국이 전 세계에 미칠 영향이 매우 우려스럽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상호관세가 위법이라는 항소심 결정이 나온 것도 경제 불확실성 장기화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부채질하고 있다.


국제 금값은 지난 4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정책을 발표한 이후 랠리를 펼치며 사상 최고치를 돌파했다가 관세 유예와 무역협상이 이어지며 최근까지 박스권에서 등락을 거듭해왔다.

한편 금과 더불어 귀금속으로 분류되는 은 가격도 이날 크게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뉴욕선물거래소에서 은 선물 근월물 가격은 미 동부시간 오후 4시께 온스당 41.73달러로 전 거래일보다 2.47% 올랐다.

은 가격이 온스당 40달러를 돌파한 것은 지난 2011년 9월 이후 14년 만에 처음이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